직원들에 쌍방울 관련 비리 증거인멸 지시 혐의
해외 도피 중인 쌍방울 회장 도운 혐의
검찰이 수십억원 어치의 달러화를 북한에 송금한 의혹을 받는 쌍방울 부회장을 추가 기소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16일 법조계에 따르면 수원지검 형사6부(김영남 부장검사)는 2019년 1월께 쌍방울 그룹이 북측 인사에게 640만 달러(당시 환율로 약 72억원)를 건넨 정황을 포착해 수사 중이다.
검찰은 쌍방울이 그룹 및 계열사 임직원 수십여명을 동원해 거액의 달러를 중국으로 밀반출한 것으로 본다. 검찰은 쌍방울이 이화영 전 경기도 평화부지사(구속기소)의 도움으로 중국 선양에서 북측 조선아시아태평양평화위원회와 남북경협 사업을 합의한 대가로 거액의 외화를 북측에 전달한 것으로 의심 중이다.
쌍방울과 북측 합의 자리에는 쌍방울 부회장인 A 씨(구속기소)와 이 전 부지사를 비롯해 쌍방울 전 회장인 B씨(적색수배·해외도피중)가 동석했던 것으로 전해진다. 이 자리에는 또 B 씨와 사업적으로 긴밀한 관계인 KH그룹 C 회장도 함께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A 부회장은 지난해 쌍방울 관련 비리 의혹이 언론 보도로 알려지자 직원들에게 증거인멸을 지시한 혐의도 받는다. 그는 지난 5월 B 전 회장이 해외로 도피하는 데 도움을 준 혐의를 받는 인물이기도 하다. 검찰은 A 부회장이 B 전 회장의 지시로 북측에 외화를 건네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파악했다.
검찰은 KH그룹 역시 대북 경협 사업권을 따내기 위해 쌍방울의 대북 송금 자금을 지원했을 가능성도 들여다 보는 중이다. KH그룹 C회장은 현재 해외 체류 중이다. 그는 강원도 평창 알펜시아 리조트를 둘러싼 입찰 방해 혐의로도 수사 대상에 올라 최근 지명수배가 내려졌다.
검찰은 이밖에도 명품 브랜드 에르메스 말안장과 시계 등 고가의 사치품들이 북측 고위 인사에 전달됐다는 의혹에 대해서도 사실 여부를 들여다보고 있다. 검찰은 다만 이 같은 외화와 사치품 등을 북측 인사에게 직접 전달한 당사자가 누구인지는 아직 밝히지 못한 것으로 전해진다.
의혹의 전모를 알고 있을 쌍방울 전 회장 B씨가 현재 해외 도피 중이기 때문이다. 또 이미 기소된 A 부회장과 이 전 부지사 등은 검찰에 진술을 거부하고 있다.
검찰은 외화 밀반출에 관여한 혐의로 지난 11일 구속한 아태평화교류협회 안모 회장을 상대로도 대북 송금 경위를 캐고 있다. 그는 쌍방울로부터 받은 기부금 중 8000만원을 약 7만 달러로 환전, 북측 고위 인사인 김영철 통일선전부장에게 전달한 혐의를 받는다.
안 회장은 또 쌍방울 등의 기업 기부금 또는 경기도 후원금을 추가로 환전해 총 50만 달러 상당을 대북송금에 이용한 혐의도 있다.
한편 수사팀은 대북송금 의혹 외에도 현재 쌍방울 그룹의 횡령 및 배임을 비롯한 자본시장법 위반,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변호사비 대납 의혹 등을 수사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