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예찬 말, 일고의 대응 가치도 없어"
"정부와 여당, 검찰 부당거래 있을 수"
"이재명에 보고한 적 없다는 말 믿어"
김영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쌍방울그룹 대북송금 사건에 연루돼 구속 기소된 이화영 전 경기부지사 가족을 만나 회유했다는 여당의 의혹 제기를 일축했다.
당대표 정무조정실장인 김영진 의원은 26일 SBS라디오 '정치쇼'에서 '장예찬 국민의힘 청년최고위원이 이 전 부지사 가족을 만났다는 민주당 대표 측근 의원이 김영진 의원이라는 취지의 얘기를 했다'란 질문에 "전혀 그런 사실이 없다"라고 부인했다.
앞서 장예찬 최고위원은 지난 23일 페이스북에 "김 의원에게 묻는다. 최근 이 전 부지사 측을 만난 사람이 김 의원이 맞느냐"라며 "대북송금 진술을 한 이화영 전 부지사 측이 이재명 대표 측근을 만나 회유당했다면 그 자체로 심각한 '사법농단 스캔들'"이라고 적었다. 이어 "야당 대표의 최측근이 사법 리스크를 무마하기 위해 회유를 시도했다면 감옥에 10번, 100번을 가도 모자란 대형사건"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김 의원은 장 최고위원을 겨냥해 "그런 사실이 전혀 없기 때문에 장예찬 최고위원의 말장난에 대응할 일고의 가치도 없어서 대응하지 않았다"라고 맞받았다.
또한 "장 최고위원은 마치 물어보는 듯이 내 이름을 거명을 했는데 그런 방식은 가장 나쁜 형태의 선동"이라면서 "검찰 수사 내용을 어떻게 장 최고위원은 그렇게 잘 알고 있느냐"라고 반문했다.
이와 함께 '당 차원에서 이 전 부지사의 부인과 접촉이 있는가'란 질문에도 "지금은 구체적으로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라고 답했다. 다만 "공식적으로 이 전 부지사의 배우자께서 당에 탄원서를 냈던 것을 당 인권위원회와 법률위원회가 대응하고 도와주고 있다"며 "이 전 부지사는 민주당의 지역위원장이었기 때문에 그에 합당한 대응을 해주고 있다고 보면 될 것 같다"라고 부연했다.
이날 김 의원은 정부와 여당·검찰의 '삼각동맹'에 의한 부당거래가 있을 수 있다는 의혹도 제기했다.
김 의원은 "김기현 대표가 오전에 비슷한 취지의 얘기를 하고 오후에 장예찬 최고가 페이스북에 글을 썼다"라면서 "또 검찰은 이 전 부지사의 말이 바뀌었다고 주장하는 걸 보면 아마 삼각동맹에 의한 부당거래가 있었지 않았나"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이 수사 자체를 정치수사로 전환하고 이화영 전 부지사, 이재명 대표까지 계속 문제를 삼고자 하는 정치적 의도가 다분히 있는 게 아니냐"라고 덧붙였다.
김 의원은 "검찰에서 수사했던 내용을 어떻게 장 최고위원은 그렇게 잘 알고 있고, 그러면서 김영진이라는 이름을 거명할 수 있느냐"라고 반문하고 "내가 보기에는 정부와 여당·검찰·김기현 대표·장예찬 최고위원이 부당거래에 의해서 나온 수사정보의 유출과 조작을 만들어가는 과정에서 장예찬 최고위원이 등장했다"라고 했다.
자신의 실명을 거명한 장 최고위원의 발언에 대해선 "정치는 정치로 풀어야 된다. '법률적으로 사법의 장으로 가져가는 것은 안 맞다'라는 것이 나의 정치적 원칙"이라면서도 "한번 더 특정한 이름을 거명해서 허위사실을 유포하고 선동의 과정으로 간다면 단호하게 대응하겠다"라고 경고했다.
한편 이화영 전 부지사는 최근 "쌍방울에 스마트팜 비용뿐만 아니라 이재명 당시 경기지사의 방북 비용 대납을 요청한 적이 없다"란 옥중 편지를 발표하며 앞서 '이 대표에게 방북 비용 관련 사전 보고를 했다'라고 알려진 자신의 검찰 진술을 번복했다.
이 전 부지사의 진술 번복에 대해서 김 의원은 "10개월 내내 소환조사를 통해서 심리적인 스트레스를 가중시켜 나가면서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막고 있는 게 아닌가라는 것이 배우자의 의견"이라며 "배우자가 민주당에 탄원서를 냈지 않나. 구속된 이후 10개월 동안 독방에서 있으면서, 매일 검찰의 소환조사를 받으면서 심리적인 압박과 붕괴, 고립 상태에서 사실과 다른 형태로 진술하고 있다는 게 이 전 부지사 부인의 탄원내용"이라고 전했다.
김 의원은 "(이 전 부지사가) '스마트팜이라든지 방북비용에 대한 대납을 쌍방울 회장한테 요청한 적이 없다. 사전보고를 한 적이 없다. 이것이 나의 진실이다'라고 자필로 진술을 써냈던 부분들을 믿는다"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