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부터 예비군을 대상으로 북한 인권 실상과 유엔군사령부 역할과 기능을 알리는 교육이 더욱 강화된다.
9일 국방부에 따르면 북한 인권 실상과 유엔군사령부(유엔사)의 역할과 기능을 반영한 내년도 예비군 교육 표준교안이 제작된다.
올해 표준교안에는 북한 인권과 유엔사 내용이 포함되지 않았다.
내년도 표준교안에는 ▲정전체제에 대한 올바른 이해 ▲북한의 실상과 위협 ▲예비군의 역할과 중요성 등 3가지 주제로 구성해 제작되는데 여기에 '북한인권 실상'과 '유엔사 역할 및 기능'이 포함될 예정이다.
북한인권 실상은 '2023 북한인권보고서' 내용을 바탕으로 한다. 통일부는 지난 3월 2017∼2022년 탈북한 탈북민 508명의 증언을 바탕으로 북한인권보고서를 작성해 공개한 바 있다.
유엔사 역할과 기능과 관련해서는 정전체제에서 유엔사가 맡고 있는 역할, 한반도 유사시 일본 내 7곳에 있는 유엔사 후방기지 역할 등이 교안에 담긴다.
유엔사 후방기지는 일본 본토의 요코스카(해군), 요코다(공군), 캠프 자마(육군), 사세보(해군)를 비롯해 오키나와에 있는 가데나(공군), 화이트비치(해군), 후텐마(해병대) 등 7곳으로, 5만명 규모의 주일미군 상당수가 분산 배치돼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