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집단지도 vs 단일체제' 뭐길래?…與, 내부 고심 깊어지는 이유는


입력 2024.06.05 05:30 수정 2024.06.05 05:30        김민석 기자 (kms101@dailian.co.kr)

與 당헌당규개정특위 "지도체제 논의"

여상규 "의총서 결론내도 자체적으로

결론내야할 일…하루에 끝나지 않아"

'지도체제' 원내외 의견 엇갈려…갈등

여상규 국민의힘 당헌당규개정특위 위원장(왼쪽 세번째)이 4일 오전 국민의힘 중앙당사에서 열린 당헌당규개정특위 1차 회의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 왼쪽부터 최형두 의원, 황우여 비상대책위원장, 여 위원장, 박형수 의원 ⓒ뉴시스

국민의힘이 다음 달 25일로 예정된 전당대회에서 어떤 지도체제를 적용할지에 대한 논의에 돌입했다. 당권 도전자들을 득표순으로 세워 당대표와 최고위원을 정하는 집단지도체제로 개정하느냐, 당대표와 최고위원 경선을 따로 실시하는 현행 단일대표체제를 유지하느냐가 논의의 쟁점이다.


당내에선 전대 흥행과 함께 유력 인사들의 전투력을 한 지도부 내에 모을 수 있는 집단지도체제의 장점과 소통 결정 구조가 빠르고 의견합일에 유리한 단일지도체제의 장점이 명확한 만큼, 두 체제를 두고 심도 있는 논의가 펼쳐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국민의힘 당헌·당규 개정 특별위원회는 4일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첫 회의를 열고 차기 전당대회에 적용할 룰과 지도체제, 당권-대권 분리 등에 대한 논의에 돌입했다. 여상규 위원장은 회의를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나 "다음주 수요일(12일)까지를 목표로 회의를 진행하고 있다. 당에서 (특위 활동기간으로) 제시한 의견이 4일부터 12일"이라며 "순조롭게 되면 모든 주제에 대한 최종 결론을 (내거나) 할 수 있는 시간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당내를 뜨겁게 달궜던 당대표 경선에 일반국민여론조사를 반영하는 사안은 일부 비율을 반영하기로 사실상 논의를 끝마친 상태다. 여 위원장은 "국민 의사 반영 비율에 대해 위원들이 각자 의견을 피력했다"며 "여론 반영에 대해선 이야기가 거의 마무리까지 가 있는 상태"라고 밝혔다.


그런만큼 이번 특위 내 가장 논쟁적인 건 '지도체제'다. 지도체제 논의의 핵심은 '집단지도체제'로 전환하느냐, 현행 '단일지도체제'를 유지하느냐 여부다. 앞서 전날 열린 의원총회에서는 의원들이 현재의 단일지도체제를 유지하기로 의견을 모은 걸로 전해졌지만 특위는 확정된 것은 아니라는 입장이다.


당내에선 지도체제에 대한 의견이 엇갈린다. 두 지도체제의 장단점이 명확하기 때문이다. 특히 원외당협위원장들은 집단지도체제로의 전환을 주장하고 있지만, 원내 의원들 사이에서는 단일지도체제 유지 의견이 다소 많은 것으로 알려진 만큼 이번 지도체제 논의가 쉽게 결론나지는 않을 전망이다.


집단지도체제는 당대표로 나선 후보들이 득표 수에 따라 최고위원으로 임명되는 제도다. 최다 득표를 한 1인이 당대표가 되고, 2~5위는 최고위원의 자리에 앉게 된다. 당내 3040 소장파 모임인 첫목회는 단일지도체제 아래에서 당대표의 권한이 너무 강력한 점에 우려를 표하면서 집단지도체제의 도입을 주장해왔다. 아울러 당헌·당규 특위에 위원으로 인선된 오신환 전 의원 역시 집단지도체제로의 전환을 주장하는 인사 중 한 명이다.


원외 인사들이 집단지도체제의 도입을 주장하는 이유는 민심을 끌어올릴 수 있는 방안이기 때문이다. 집단지도체제가 도입되면 당권주자로 분류되는 당 안팎의 유명인사들이 전대에 출마할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 당대표가 되지 않더라도 '최소 최고위원'이란 안전판을 깔리기 때문이다.


이처럼 유명인사들이 대결을 펼치게 되면 국민의힘 전대를 향한 국민적 관심도 높아질 것이라는 의견이 나온다. 또 전대 후 꾸려질 지도부에서도 다양한 의견들이 등장할 것인 만큼 국민들의 이목을 끌기 유리한 분위기를 만들 수 있단 주장이 나온다. 특히 당대표뿐 아니라 다른 최고위원들도 각자 목소리를 낼 수 있는 구조인 만큼, 원외 인사 입장에선 당내에 의견을 전달할 통로가 확보된다는 점 역시 강점으로 꼽힌다.


단점은 지도부 내 목소리를 하나로 모으기가 어렵다는 점이다. 김무성 전 대표가 이끌던 새누리당(국민의힘 전신)이 대표적인 예시다. 2014년 당시 새누리당은 집단지도체제 형태의 전당대회를 통해 김무성·서청원·김태호·이인제 등을 당 지도부로 선출했다. 이처럼 당의 걸출한 인물들이 지도부에 들어서자 여러 갈등이 발생했고, 당시 새누리당 지도부는 2016년 총선에서 참패를 맞이했다.


또 최근 개혁신당이 집단지도체제로 전당대회를 치러 허은아 전 의원을 대표로, 이기인 전 경기도의원을 최고위원으로 뽑으면서 발생한 갈등도 대표적인 예시로 꼽힌다. 대표적인 당권주자로 꼽히는 안철수 의원은 "집단지도체제에선 기존의 당대표 경쟁을 하던 사람들이 1등이 대표가 되고 2등부터 최고위원이 되다보니, 서로 성격이 아주 강한 분들이 모이시면 하나로 의견이 통합이 안 되는 문제점들이 있다"고 지적한 바 있다.


한동훈 국민의힘 전 비상대책위원장 ⓒ데일리안 홍금표 기자

단일지도체제 유지를 주장하는 인사들의 주장은 일관성이다. 22대 국회에서 여소야대 정국이 더 악화된 만큼 단일대오를 유지해야 하는 상황에서 막강한 권한을 지닌 당대표의 단일지도체제가 당내 중지를 모으기 더 편하다는 것이다.


아울러 단일지도체제파(派)는 현재 황우여 비상대책위원장 체제에서 당의 지도체제 전환을 논의하는 것을 '월권'으로 보고 있기도 하다. 국민의힘 한 의원은 "지금 비대위를 꾸리면서 성격을 어디까지나 전대 준비를 위한 관리형으로 정하지 않았느냐"라며 "지금은 민주적 절차에 의한 지도부를 구성하는게 비대위의 역할이고, 지도체제를 바꾸거나 하는 건 그 이후 지도부의 역할"이라고 강조했다.


하지만 단일지도체제는 최고위원들이 '2부 리그' 격에 머문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또 당대표 경선에서 떨어질 경우 당직을 수행할 가능성이 극히 낮아지는 만큼 경쟁력 있는 당내 인사들을 사장(死藏)시킬 것이란 우려도 존재한다. 또 다른 국민의힘 한 의원은 "(단일지도체제에선) 최고위원의 무게감이 너무 떨어질 수 있다"며 "한 명의 인재라도 끌어다써야 하는 우리 입장에선 아까울 수밖에 없지 않겠느냐"라고 말했다.


이에 당내에서 주목받고 있는 건 '절충형'이다. 절충형은 현행 단일지도체제와 과거의 집단지도체제를 혼합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대표 선거와 최고위원 선거를 따로 치르되, 대표 선거 2·3위가 최고위원이 돼 지도부에 입성하고, 최고위원 선거로 나머지 최고위원들을 뽑는 방식이다.


황우여 위원장이 처음 거론한 절충형 체제는 현재 당내에서 큰 주목을 받지 못하는 상황이다. 나경원 의원은 이날 YTN라디오에 나와 절충형 지도체제에 대해 "워낙 야당이 거칠게 나오기 때문에 지금 당이 굉장히 일사불란하게 움직여야 될 때인데 (절충형 지도체제로 인해 지도부가) 오히려 봉숭아 학당이 돼서 이도 저도 못하는 당이 될까 하는 우려가 있는 건 사실"이라고 했다.


이에 당내 시선은 당헌·당규 개정 특위로 쏠리고 있다. 특위가 어떤 의견을 내느냐에 따라 여론이 뒤바뀔 가능성이 충분하기 때문이다. 여 위원장은 "지도체제 문제는 하루에 끝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끝나지 않을 경우 이번 주 금요일까지 계속 회의할 수 있다"며 "(당내 의원들이) 의총에서 결론을 냈어도 당헌·당규를 손질해야하기 때문에 우리 자체적으로 결론을 냈어야 될 일이다. 상관없이 계속 논의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김민석 기자 (kms101@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