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이재명 '김문기 몰랐다' 발언 유죄 명백…죄질 나빠 벌금 100만원 이상 선고될 것" [법조계에 물어보니 552]
이재명 15일 공직선거법 위반 1심 선고…100만 원 이상 벌금형 확정 시 의원직 상실, 대선 출마 못해법조계 "故 김문기 몰랐다' 발언, 유죄 명백…순간적 착각이라 보기 어렵고 사진 등 증거 명확""대선에 미칠 부정적 영향 줄이고 민의 바꿀 목적으로 거짓말…죄질 나빠 100만 원 이상 벌금형 예상""이재명, 1심서 의원직 상실형 나오면…변호인 교체 통해 2심과 3심 최대한 시간끌기 전략 쓸 것"
"문다혜 부를 방법이 없다…검찰도 조사 포기" [법조계에 물어보니 551]
문다혜, 문재인 전 사위 항공사 특혜채용 사건 핵심 참고인…대면 이어 유선조사도 거부법조계 "참고인 신분, 강제수사 어려워 협조 요청 한계…비협조하면 강제할 방법 없어""증거보전신청 하면 재판 전 증인신문 가능하지만…묵비권 행사하면 불발 되는 경우 많아""서면조사는 실익 없기에 검찰도 포기한 것…확보한 압수물 통해 진실 규명 주력할 듯"
서울고검의 김 여사 도이치 무혐의 재검토…결론 안 바뀌는데 왜 하는 걸까 [법조계에 물어보니 550
서울중앙지검, 김 여사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의혹 무혐의 처분에…서울고검 재검토 법조계 "전문성 갖춘 내부검토팀까지 구성해 처분 정당성 강화…결론 안 달라질 것""이미 중앙지검서 결정된 처분 새롭게 판단하기 부담스러울 것…재수사 가능성 낮아""검찰 처분 이후 단계 사실상 의미 없지만…항고 기각되면 야당의 정치 공세만 더욱 거세질 것"
"민주당, 이재명 방탄 위해 검찰 수사비까지 손 대…딥페이크·N번방 수사도 차질" [법조계에 물어보니 549]
더불어민주당 주도 국회 법사위, 7일 검찰 특활비 80억여원 및 특경비 506억원 전액 삭감 의결법조계 "특활비와 특경비, 둘 다 수사·조사에 쓰이고 특경비는 영수증 필요"…검찰과장 반발해 사직"이재명 관련 각종 수사 및 돈봉투 사건, 김정숙 여사 수사에 차질 주기 위해 의도적으로 강행하는 듯""딥페이크 및 N번방과 같은 주요 수사에 필요한 경비조차도 확보되지 않아 향후 수사에 차질 불가피"
"증거인멸·혐의부인 명태균에 구속영장 청구될 듯…추가 폭로 가능성은 부담" [법조계에 물어보니 548]
창원지검, 8일 오전 10시부터 명태균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 피의자 신분 소환조사법조계 "명태균, 처남에게 휴대전화 폐기 요구…원칙적으로는 구속영장 청구해야""증거인멸 우려 뿐만 아니라 모든 혐의 부인하는 것은 구속 사유…공개 활동으로 도주 우려는 작아""추가 폭로 가능성은 여전히 정치적 부담으로 작용할 것…일단 구속 없이 조사할 가능성도"
국민의힘 경선 10명 육박 '각축전'…주자들 약점 보완 총력전
美 백악관 주치의 "트럼프 인지능력 매우 정상…직무 수행 적합"
'국방부→대통령실' 재이전 가능성 꿈틀…본래 주인 되찾나
[오늘 날씨] 전국 대부분 비 또는 눈...봄철 탈모 예방하는 음식 3가지
김슬아부터 박이라까지…유튜버로 등판한 유통가 CEO들
"저도 모르게 그만" 남윤수, 19禁 게시물 올렸다 사과 '무슨 일?'
실시간 랭킹 더보기
[트럼프 스트레스] ‘관세후퇴’ 논란에 트럼프 “전자제품, 면제 아니다”
미국 정부가 13일(현지시간) 상호관세 부과에서 제외된 반도체 등 전자제품에도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입장을 재확인하며 관세정책에 후퇴가 없다고 밝혔다.미 CNN방송 등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13일(현지시간) 자신이 소유한 소셜미디어(SNS)를 통해 “지난 금요일(4월11일)에 발표한 것은 관세 예외(exception)가 아니다”며 “이들 제품은 기존 20% 펜타닐(마약성 진통제·일명 좀비마약) 관세를 적용받고 있으며 단지 다른 관세 범주(bucket)로 옮기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다가오는 국가안보 관세 조…
[트럼프 스트레스] USTR 대표 "미·중 정상간 대화, 계획 없어"
[트럼프 스트레스] 미국인 4분의 3 "트럼프 관세로 물가 오를 것"
사회 많이 본 기사 더보기
양경미의 영화로 보는 세상
언더독의 기적
김규환의 핸디 차이나
피치, 18년 만에 中 국가신용등급 강등
손기웅의 가야만 하는 길
대선 승리를 위한 ‘국민의힘 경선’을 위해
尹이든 李든 재판 원칙은 동일해야 [기자수첩-사회]
한화, 타이밍을 놓친 소통의 아쉬움 [기자수첩-산업]
균열의 연금개혁, 숙제는 ‘세대 공존’ [기자수첩-정책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