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통문화지수 실태조사 결과 군 단위 1위를 차지한 영동군에서는 보행자 대부분이 신호에 따라 횡단보도를 건너고 거의 모든 차량이 정지선을 준수하고 있다. 이륜차 운전자들도 모두 안전모를 쓰고 있는 모습이다. 이렇듯 주민들의 높은 교통문화의식 덕분에 영동군은 1년 동안 보행사망자 0명을 달성했다.
국토교통부와 한국교통안전공단이 전국 229개 시·군·구를 대상으로 한 교통문화지수 실태조사 결과 지난해 80.73점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23년 79.92점보다 0.81점 상승한 것으로 국민들의 교통문화 수준이 지속적으로 향상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세부적으로 항목별 지표를 살펴보면 전국 운전행태 조사 결과 최근 5년간 대부분의 지표가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륜차 승차자 안전모 착용률은 2022년 93.91%에서 지난해 95.99%, 운전 준 스마트기기 미사용 준수율은 58.23%에서 63.43%, 횡단보도 정지선 준수율은 81.43%에서 82.12%로 2년간 꾸준히 개선된 것으로 조사됐다.
다만 방향지시등 점등률은 2023년 76.00%에서 지난해 75.59%, 제한속도 준수율은 66.43%에서 65.47%로 하락해 지속적인 홍보 및 단속·계도 활동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전국 보행행태 조사 결과 무단횡단 금지 준수율은 2022년 70.97%에서 지난해 74.66%로 꾸준히 개선되고 있었다.
반면 횡단보도 신호 준수율은 2023년 93.02%에서 지난해 92.46%, 횡단 중 스마트기기 미사용 준수율은 85.48%에서 85.30%로 1년 새 하락하는 등 보행자의 교통안전 의식 개선이 지속적으로 이뤄져야 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와 함께 지자체 교통안전 관심도 증가로 교통안전 행정노력도가 2023년 7.38점에서 지난해 7.42점으로, 교통사고 사상자수 관련 점수가 9.47점에서 10.03점으로 향상됐다.
전국 지자체별 교통문화지수를 조사한 결과 강원 원주시(90.35점)가 인구 30만명 이상 시 중에서 1위로 선정됐다.
인구 30만명 이하 시엥서는 충남 논산시(89.32점)가 1위였으며, 군 지역에선 충북 영동군(87.39점), 자치구에선 연수구(85.78점)이 제일 높은 점수를 받았다.
또 전국 229개 지자체 중 1년 새 교통문화지수 개선율이 가장 높은 지자체로는 서울 강서구(83.49점, E등급→B등급)가 선정됐다.
한편, 국토부는 교통문화지수 하위 20%인 시·군·구 중 조사를 신청한 4개 지자체를 선정해 맞춤형 개선안을 마련하는 교통안전 특별실태조사 사업도 추진 중이다.
엄정희 국토부 교통물류실장은 “각 지자체에서 교통문화 향상을 위해 전극적인 관심과 노력을 기울인 결과 국민들의 교통안전 의식 수준이 개선되고 있다”며 “지자체, 경찰과 협조해 적극적인 홍보와 계도를 통해 국민의 일상생활 속 교토법규 준수를 습관화하고 교통문화 선진화를 향해 나아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