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치소 보안구역 안까지 들어갔으나
윤 대통령·김용현 청문회 불응
현장조사 무산에 金 고발 추진키로
국회 '윤석열 정부의 비상계엄 선포를 통한 내란 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 특별위원회'가 서울 동부구치소를 방문해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을 상대로 구치소 현장 청문회를 진행하려 했으나 김 전 장관이 불응하며 불발됐다.
특위 간사인 한병도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5일 동부구치소에서 기자들을 만나 "현장조사에 부담을 느낄 수 있어 비공개로 인원도 5명으로 줄여서 하겠다고 했다"며 "구치소 안으로 들어가서 기다렸는데 (김 전 장관은) 현장에 나오지 않았다"고 했다.
김 전 장관은 재판 준비, 변호인 접견 등을 사유로 청문회에 응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고, 국조특위는 김 전 장관을 고발 조치하기로 했다.
특위가 보안구역 안으로 들어가 접견을 시도했으나 김 전 장관은 이에도 응하지 않았다.
안규백 특위 위원장은 "국민 여론과 국회를 무시하는 무례한 증인의 태도에 깊은 유감을 표하지 않을 수 없다"며 "청문회의 동행명령을 거부하고, 출석하지 않는 증인에 대해 간사 간 협의를 거쳐서 고발 조치하겠다"고 했다.
이날 국민의힘도 윤석열 대통령의 증인 채택 등을 두고 반발하며 현장 조사에 불참했다.
특위는 김 전 장관 조사가 무산된 이후 서울구치소를 찾아 윤 대통령 신문을 시도했으나, 현재 윤 대통령도 청문회장에 모습을 드러내지 않고 있다.
민주당은 5명가량의 의원을 구치소 접견실로 보내 윤 대통령과 만남을 시도한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특위 위원들이 윤 대통령을 만나 현장조사를 진행할 수 있을지 여부는 예단할 수 없는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