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진동 대검찰청 차장검사, 6일 "김용현, 군사보호시설 안에 있어서 승인 못 받으면 영장 집행 못해"
"자발적 출석이 제일 중요한 상황…수사팀에서 설득 어렵다고 해 직접 통화해보겠다고 한 것"
"지금까지 검찰에서 엄정하게 수사했지 누굴 봐주고 한 건 한 번도 없었어"
이진동 대검찰청 차장검사가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을 조사하기 전 직접 통화한 건 내란 혐의 조사를 위해 검찰에 출석할 것을 설득하는 과정이었다고 밝혔다.
6일 법조계에 따르면 이 차장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윤석열 정부의 비상계엄 선포를 통한 내란 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 특별위원회' 3차 청문회에서 더불어민주당 백혜련 의원 질의에 이같이 답했다.
이 차장은 지난해 12월 8일 김 전 장관이 검찰에 자진 출석하기 직전 그와 통화했다.
이와 관련해 이 차장은 "이 사건에서 김 전 장관 신병 확보가 가장 중요한데 김 전 장관이 있는 곳이 군사보호시설 안에 있어서 사실상 영장을 받아도 승인을 못 받으면 집행할 수가 없다"고 설명했다.
이어 "자발적 출석이 제일 중요한 상황이고, 설득이 우선이라고 했다"며 "수사팀에서 설득이 어렵다고 했고, 그러면 제가 직접 통화해서 설득해보겠다고 한 것"이라고 부연했다.
김 전 장관이 당시 사용한 휴대전화가 그의 '비선' 노상원 전 정보사령관에게 지급한 비화폰이었다는 사실에 대해서는 "어제 방송사에서 보도된 것을 보고 처음 인지했다"고 해명했다.
해당 비화폰은 김성훈 대통령경호처 차장이 김 전 장관에게 지급했고, 김 전 장관이 노 전 사령관에게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일각에서 경찰이 김 차장에 대해 신청한 구속영장을 검찰이 재차 반려한 것과 김 전 장관과의 통화를 연결 짓는 것에 대해서는 무관하다고 선을 그었다.
이 차장은 "내란 관련 사건은 엄정하게 수사하고 있고, 경호처 차장 수사는 기본적으로 체포영장 방해한 공무집행방해이기 때문에 별개 사건"이라며 "그걸 관련해서 연계짓는 건 아닌 것 같다"고 답변했다.
그러면서 "지금까지 보셔서 알겠지만, 검찰에서 엄정하게 수사했지 누굴 봐주고 한 건 한 번도 없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