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지보수 비용 절감 효과도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KOMSA, 이사장 김준석)은 국내 최초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소재를 활용한 시제 어선을 건조하고, 성능 테스트를 완료했다.
HDPE 소재는 열가소성 플라스틱 종류로, 기존 섬유강화플라스틱(FRP) 대비 부식에 강하고 강도가 뛰어나다.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100% 재활용할 수 있어 친환경 소재로 주목받는다.
이번 시제 어선은 해양수산부 예산을 활용해 KOMSA가 주관기관으로 참여하는 ‘AI 기반 어선안전 설계 데이터 플랫폼 개발’ 과제 지원을 통해 건조했다.
현재 국내 연안 어선 건조에 주로 사용되는 FRP 소재는 시간이 지나면서 부식이 발생하고 유지보수 비용이 증가하는 한계가 있다.
지난 12월 부산광역시 강서구 인근 해역에서 진행된 시운전 성능 테스트에서 2.99톤급 HDPE 어선은 최대 속력 32노트(knot)를 기록했다. 동일 규모 FRP 어선(25노트)과 알루미늄 어선(30.7노트)을 뛰어넘는 성능을 보였다.
KOMSA는 이번 실증 데이터를 바탕으로 HDPE 어선 설계 기준을 정교화하고, 안전 시스템 개발을 통해 어선 안전성을 강화할 계획이다.
시제 어선 건조는 친환경적이면서도 유지 비용이 적은 어선을 개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HDPE 어선 건조 기술을 확보해 향후 어업 현장 안전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동시에 국내 어선 산업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한다.
김준석 KOMSA 이사장은 “초기에는 FRP 대비 건조 비용과 기간에서 다소 불리할 수 있지만, 기술 발전과 대량 생산이 이루어지면 경제성과 성능 측면에서 모두 뛰어난 대안이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어선 안전 강화와 어선 건조 산업 선진화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