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산·조선·원전 업종 강세...“일시적 조정 가능성”
“반도체주, 관세 우려에도 미 협상 가능성 긍정적”
최근 국내 증시에서 방산·조선·원전 업종이 강세를 보인 가운데 반도체주의 관세 불확실성 완화 여부에 베팅할 필요가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트럼프 수혜주의 가격 부담이 높아진 반면, 반도체 업종은 관세 우려가 존재하나 미국과 협상 가능성이 있고 실제 실현 확률이 제한적이라는 측면에서다.
김대준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17일 발간한 보고서를 통해 “도널트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우려와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 금리 인하 지연 등 악재에도 불구하고 코스피가 2600선 돌파를 목전에 두고 있다”면서 “대외 악재가 완화되는 흐름이 나온다면 시장 분위기는 더욱 개선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김 연구원은 “최근 코스피는 몇몇 업종에 의해 상승하고 있는데 방산, 조선, 원전 등 트럼프 수혜주가 대표적”이라며 “산업 성장성을 고려하면 당연한 결과로 볼 수 있지만 단기 변동성이 큰 국내 증시를 고려하면 과매수에 의한 일시적 조정을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최근 국내 주식시장을 견인한 또 다른 업종이 반도체라는 점에 주목했다. 트럼프 수혜 업종과 달리 과매수와는 거리가 멀고 추가로 미국발 관세 우려를 피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 등이 최근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반도체주 주가에 긍정적으로 작용했다.
김 연구원은 “트럼프가 여러 산업에 관세 압박을 가하고 있지만 한국 반도체에 미칠 영향력은 제한적일 수 있는데 해당 제품을 대체할 수단이 미국에 없기 때문”이라며 “혹시라도 반도체 관세 이슈가 협상 범위에서 벗어날 경우 미국이 받을 피해도 무시할 수 없다”고 진단했다.
또한 미국 관세에 노출이 되더라도 한국 반도체 기업은 미국 내 생산을 계획하고 있어 최악의 상황을 피해갈 수 있다는 전망도 내놨다.
그는 “물론 즉각 대응을 위한 시간적 한계는 분명히 존재하지만 연초와 달리 정부 차원에서 협상을 고려하고 있어 문제 해결 가능성은 충분하다”면서 “반도체 투자심리가 극단적으로 훼손되지는 않을 전망”이라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