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내버스 공공관리제 시행 1년 추진성과 평가 결과 발표
민원발생 27%·교통사고 건수 32% 감소·운행횟수 준수율 11% 향상 등
경기도는 지난해 1월부터 경기도형 준공영제인 ‘시내버스 공공관리제’를 1년간 시행한 결과 민원과 교통사고 건수가 감소하고 운행횟수와 막차시간 준수율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는 지난해 1월부터 시내버스 공공관리제를 시행한 315개 노선 2142대를 대상으로 시내버스 민원 발생건수, 교통사고 건수, 운행횟수 준수율 등 시내버스 전 분야에 대한 평가 결과를 24일 발표했다.
도는 올해 1월 현재 시내버스 339개 노선 2255대를 공공관리제로 시행하고 있으며, 오는 2027년까지 경기도 시내버스 1649개 노선 6187대를 모두 공공관리제로 전환할 예정이다.
평가 결과를 보면 국민신문고 등으로 접수된 시내버스 민원 발생건수는 2023년 1895건에서 2024년 1392건으로 27% 감소했다. 또 31개 시군에서 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 위반으로 실시한 행정처분 건수도 2023년 404건에서 2024년 342건으로 15% 줄었다.
공공관리제 시행으로 버스 안전 관리도 대폭 강화돼 시내버스 교통사고가 2023년 1070건에서 2024년 732건으로 32% 감소됐다.
버스 노선 운영 분야에서는 운행횟수 준수율이 2023년 88%에서 2024년 99%로 11%포인트 증가했으며, 막차 시간 준수율은 2023년 84%에서 2024년 89%로 5%포인트 증가하는 등 버스 정시성이 크게 향상됐다.
또 차량 기반시설(인프라) 측면에서도 장애인 등 교통약자를 위한 저상버스 보급률이 2023년 36%에서 2024년 49%로 13%포인트 증가했으며, 평균 차령도 2023년 6.0년에서 2024년 5.7년으로 0.3년 감소하는 등 차량 노후화 문제가 개선됐다.
도는 이번 평가 결과 일부 미흡사항에 대한 개선계획을 포함해 서비스 개선·재정 절감·노선 개편·공공성 확보 분야를 중심으로 시내버스 공공관리제 로드맵(종합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박노극 경기도 교통국장은 “시내버스 공공관리제 시행 이후 시내버스 공적관리를 강화하면서 버스 서비스 질을 대폭 개선했다”면서 “시내버스 공공관리제가 경기도와 시군의 많은 재정이 투입되는 사업인 만큼 운송비용 절감 방안을 마련하고 공공성 확보를 위해서도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