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제문의 심각한 편향성, 불참 결정”
미디어경영학회‘방통산업 현안과 해결방향 모색’심포지엄 29일 개최
KT와 LG유플러스가 29일 오전 10시부터 진행되는 한국미디어경영학회 주최 ‘방송통신산업 현안과 해결방향 모색’ 심포지엄에 불참한다고 밝혔다.
KT와 LG유플러스는 이날 공동 보도자료를 통해 “심포지엄에 참석 요청을 받았으나 발제문의 심각한 편향성으로 불참을 결정하게 됐다”고 전했다.
특히, 발제내용 중에 SK텔레콤-CJ헬로비전 인수합병에 대해 적시에 승인하고 발생되는 문제점은 인수합병 조건을 통해 해결해야 한다는 것은 SK텔레콤의 주장 및 요구를 그대로 대변한 것이라는 지적이다.
양사는 “핵심 쟁점사항인 유료방송 시장 획정에 있어서도 미국 AT&T나 DirecTV 사례에서 ‘지역’ 기준을 누락한 것은 고의성이 심히 의심된다”며 “특정사업자를 대변하는 왜곡된 심포지엄이 개최되는 것에 심히 유감을 밝힌다”고 말했다.
양사는 발제문과 관련 몇가지 주장에 대해 의문을 표했다. 인수기업 투자로 케이블 망이 기가급으로 업그레이드 된다는 부분에 대해서는 “CJ헬로비전은 이미 2017년까지 기가인터넷 커버리지 90% 확대 계획을 밝힌 만큼, 이런 주장을 펼치는 것은 SK텔레콤의 주장을 그대로 옮겨온 것에 불과하다”고 꼬집었다.
유료 방송 시장에서 케이블 업계의 쇠퇴에 대해서도 양사는 케이블 자체 경쟁력의 약화가 아닌 SK텔레콤의 이동전화 지배력을 주요 원인으로 분석했다. 양호한 케이블 1위 사업자를 인수한다고 해서 전체 케이블 업계의 경쟁력이 높아진다는 것은 논리적인 비약이라고 일침했다.
이 외 해외 시장의 상황도 언급했다. SK텔레콤은 해외도 1위 사업자와 경쟁할 대형 사업자 등장에 적극적이라고 했지만, KT와 LG유플러스는 “최근 미국, 유럽에서 추진된 동종 시장 내 인수합병을 보면 경쟁/규제 당국의 일관된 입장은 경쟁관계에 있던 사업자의 소멸에 따른 경쟁 둔화 및 소비자 선택 축소에 심각한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며 “심지어 3, 4위 사업자간 합병 도 불허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양사는 “SK텔레콤과 CJ헬로비전이 합병해도 유료방송 시장에서 KT계열이 여전히 1위이라고 주장하는데, 이는 관련 시장을 전국으로 보기 때문”이라며 “FCC는 AT&T, DirecTV 합병을 비롯한 여러 유료방송 사업자 합병 사례에서 일관되게 관련시장을 ’지역‘으로 획정하고 있으며, 발제문은 이 사실을 간과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