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북한 미사일에 뿔났다"…'중국 역할론' 거듭 강조
현지 언론과의 인터뷰서 "북핵, 매우 위험한 상황" 지적
대북 옵션으로 한국 등 동맹국 미사일방어시스템 강화 언급
현지 언론과의 인터뷰서 "북핵, 매우 위험한 상황" 지적
대북 옵션으로 한국 등 동맹국 미사일방어시스템 강화 언급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3일(현지시각) 북한의 탄도미사일 시험발사에 대해 "매우 화가 났다"면서 북한·북핵 문제 해결을 위한 중국의 역할을 재차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 집무실에서 로이터통신과 단독 인터뷰를 갖고 지난 12일 북한이 중거리 탄도미사일을 시험발사한 데 대해 "매우 화가 났다(very angry)"며 "이(북한·북핵) 문제는 오바마 행정부에서 다뤄졌어야 했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대해 '매우 위험한 상황(very dangerous situation)'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대한 대책과 관련해서는 "일본, 한국 등 미국의 동맹국이 미사일 방어시스템을 강화하는 것이 이용 가능한 많은 옵션 중에 포함돼 있다"고 말했지만, 구체적인 대북 옵션의 내용을 언급하지는 않았다.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에 대해 강경 대응을 시사한 것은 사실상 이번이 처음이다. 그는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 직후 방미 중이던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 예정에 없던 긴급 기자회견을 열었을 때도 북한 도발에 대한 별다른 언급 없이 "미국은 주요 동맹인 일본을 100% 지지한다"는 입장만 밝혔다.
또 지난 13일(현지시각) 미국을 방문한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와 정상회담을 한 이후 기자회견에서는 "분명히 북한은 크고 큰 문제다. 아주 강력히 다룰 것"이라고만 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인터뷰에서 "중국은 자신들이 원하면 북한이 야기하는 안보위협을 아주 쉽게(very easily), 아주 빨리(very quickly)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며 북한·북핵 문제에서의 '중국 역할론'을 거듭 강조했다. 중국이 북한의 도발을 억제하는 데 더 큰 영향력을 행사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던진 것으로 풀이된다.
이밖에 그는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과의 만남 가능성에 대한 질문에 "매우 늦었다(very late)"고 답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앞서 대선 후보 시절 김정은과 '햄버거 대화'를 할 수 있다고 말한 바 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