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 휴가철 車사고 피해자 4.3% 증가…건수도 2.4%↑
저연령 운전자 사고 급증…10대에서 27.4% 증가
안전벨트 착용 필수…충분한 휴식으로 졸음 예방해야
여름 휴가철 자동차 사고 피해자가 평소에 비해 4% 이상 늘어나는 것으로 조사됐다. 자칫 들뜨기 쉬운 휴가 시즌일수록 차량 운전에 더욱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는 조언이다.
보험개발원은 2014~2016년 자동차보험 사고를 분석한 결과, 매년 7월 20일부터 8월 15일 사이 1일 평균 차량 사고 피해자수는 4652명으로 평상시(4458명)보다 4.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23일 밝혔다.
자동차보험 사고 건수 역시 휴가철이 1일 평균 1만1637건으로 다른 기간(1만1370건) 대비 2.4% 많았다.
사고 지역별로 보면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의 경우 휴가철 사고건수와 피해자수는 평상시 대비 각각 2.5% 감소하는 반면, 비수도권은 각각 4.9%, 9.9%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휴가철 여행 선호지역이 주로 비수도권에 분포돼 있어, 이들 지역의 차량운행 증가로 교통사고도 증가하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휴가철에는 상대적으로 운전경험이 적은 저연령 운전자의 사고발생이 평상시 대비 매우 높게 집계됐다. 실제 10대와 20대 사고운전자의 휴가철 1일 평균 사고건수는 평상시 대비 각각 27.4%, 5.1% 높았다.
또 여름 휴가철 이용량이 증가하는 렌터카는 사고건수가 평상 시 대비 10.6% 증가했다. 이 역시 10대와 20대 저연령 운전자 사고가 평상시보다 각각 46.5%, 27.0%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휴가철 사고피해자의 연령대별 현황을 살펴보면, 20세미만 피해자가 급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10세미만 피해자는 평상시 대비 28.1%, 10대는 26.3% 증가했다. 휴가철이 방학 기간과 겹치면서, 어린이·청소년 자녀를 동반한 차량운행이 늘어나는데 따른 현상으로 풀이된다.
보험개발원은 휴가철 가족·친구 동반 여행 시 안전벨트 착용에 유의하고, 뒷자리의 어린 자녀도 안전벨트를 반드시 착용해 사고피해를 감소시킬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또 장거리 운행시 최소 1~2시간 간격으로 차를 세우고 스트레칭 등 충분한 휴식을 통해 졸음운전을 예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차량고장 등 긴급 상황 발생에 대비해 본인이 가입한 보험사의 긴급출동서비스 연락처를 메모해 둬야 한다고 당부했다. 또 정기적으로 차량점검을 받는 습관이 중요하며 휴가철 장거리 여행 전에는 타이어 등 자동차 상태를 미리 확인해야 한다.
보험개발원 관계자는 "즐겁고 안전한 휴가를 위해서는 전 좌석 안전벨트 착용과 충분한 휴식을 통한 졸음운전 예방이 필요하다"며 "장거리 운행 전 차량점검으로 최상의 차량 컨디션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