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FC로 돌아오는 맥그리거, 살아있는 황금
메이웨더전 10라운드 TKO 패배에도 가치 치솟아
UFC 체급에서 예상하지 못한 행보 그릴 수도
세기의 이벤트 매치업으로 많은 관심을 모았던 UFC 라이트급 챔피언 코너 맥그리거(29·아일랜드)와 ‘무패복서’ 플로이드 메이웨더 주니어(40·미국)의 슈퍼웰터급 매치가 막을 내렸다.
메이웨더는 지난 27일(한국시각) 미국 라스베이거스 T-모바일 아레나서 열린 슈퍼웰터급(69.85kg) 12라운드 복싱 경기에서 맥그리거에 10라운드 TKO승을 거뒀다
메이웨더는 평소와 달랐다. 많은 나이에도 상대의 펀치를 피하거나 흘리듯 막아내는 요령은 여전했지만 한층 공격적으로 경기에 나섰다. 4라운드 들어 발동을 걸기 시작해 10라운드에서 끝내기까지 메이웨더는 전진스텝을 밟았다. 그동안의 지루한 아웃복서 이미지는 찾아볼 수 없었다.
UFC 무대에서의 맥그리거는 압박을 당하는 것보다 가하는 쪽이다. 경기가 시작되면 상대 스타일에 상관없이 본인이 압박을 시도하는 스타일을 즐긴다. 메이웨더는 이를 용납하지 않았다.
아웃복싱을 해도 이길 가능성이 높았지만 자신보다 크고 리치가 긴 맥그리거를 상대로 그럴 필요가 없었다. 전진스텝을 밟았다. 그 어느 때보다도 복부 공격을 자주 시도하며 데미지를 축적시켰다. 결국, 메이웨더가 마음먹고 칼을 뽑아들자 맥그리거는 반전도 만들어 내지 못한 채 무너질 수밖에 없었다.
그럼에도 종합격투기 파이터나 관계자들 사이에서는 맥그리거에 대한 평가가 후하다. 복싱계 전설 메이웨더를 맞아 10라운드까지 견디어냈기 때문이다.
메이웨더전을 통해 확실한 한계를 절감한 맥그리거가 복싱 경기를 또 치를지 알 수 없다. 메이웨더를 맞이해 10라운드까지 버텼다고 해서 다른 강자들과의 대결에서 선전한다고 보기 어렵기 때문이다.
경기 후 인터뷰에서 밝혔듯, UFC 복귀는 확실하다. 주전장인 데다 이번 빅매치를 통해 이름값이 더욱 높아지면서 위상은 더 올라갔다. 호불호가 갈리더라도 UFC를 대표하는 가장 확실한 캐릭터가 됐다.
문제는 이전부터 제기됐던 형평성 부분이다. 살아있는 황금덩어리가 된 맥그리거는 그야말로 UFC 모든 선수들의 희망 상대 0순위다. 맥그리거와의 대결이 잡히면 복권 당첨과도 같은 상황을 맞게 된다. 네이트 디아즈를 통해서도 알 수 있듯, 평소 받는 금액과는 비교조차 할 수 없을 만큼의 돈벼락을 맞는다.
네임밸류 상승은 보너스다. 맥그리거와 이름이 같이 언급되는 것만으로도 큰 반사이익을 얻을 수 있다. 영악한 맥그리거는 이 같은 상황을 너무도 잘 알고 있다. 자신의 가치가 더 올라간 지금, 웬만한 수준의 이익으로는 쉽게 움직이지 않을 것이 확실하다.
현재 UFC 페더급·라이트급에는 맥스 할로웨이(25·미국), 조제 알도(30·브라질), 프랭크 에드가(35·미국), 하빕 누르마고메도프(28·러시아), 토니 퍼거슨(35·미국) 등 맥그리거와 경기를 펼칠 명분과 위치가 확실한 선수들이 여럿 있다. 페더급 시절 라이벌 관계를 형성했던 알도와의 2차전도 팬들이 기대하는 게임이다.
라이트급 최강의 도전자 세력으로 불리는 누르마고메도프, 퍼거슨은 실질적 전력에서 맥그리거보다 앞선다는 평가를 받는 만큼, 성사된다면 뜨거운 관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더불어 웰터급 파이터들조차 속내를 드러내며 맥그리거와의 대결을 희망하고 있다.
하지만 현실은 맥그리거가 앞서 거론한 파이터들과 경기를 치를지 의문이다. 맥그리거는 그간 챔피언의 지위를 이용만 했을 뿐, 한 차례 방어전도 치르지 않았다. 심지어 경기 후 인터뷰에서 디아즈와의 3차전 가능성을 흘려 팬들을 경악케 했다.
개인적인 업적은 대단하지만 맥그리거가 속한 UFC 체급 파이터들에게는 재앙 같은 존재다. 메이웨더와의 복싱매치를 통해 더욱 몸값을 올린 맥그리거가 어떤 행보를 그릴지 주목된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