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부동산시황]서울 재건축 0.54% 하락…투기과열지구 상승세 꺾여
8월 마지막주, 서울 일반 아파트값 0.02% 소폭 올라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와 조합원 지위양도 금지 등의 규제가 담긴 8.2 부동산 대책 효과가 강남권 재건축 시장에서 뚜렷이 나타나고 있다.
특히 지난 6.19 부동산 대책 발표 후 한 달동안 서울 재건축가격은 1.76% 급등한 반면 8.2 대책 발표 이후 한 달은 0.54% 하락 반전했다.
같은 기간 서울 일반아파트는 상승세가 둔화되며 0.31% 소폭 오르는데 그쳤다. 투기지역과 투기과열지구를 피한 신도시는 같은 기간 서울(0.17%)과 경기·인천(0.13%) 보다 변동률이 소폭 높은 0.3% 올랐다.
1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서울은 재건축 하락폭이 커지면서 0.02% 오르는데 그쳤다. 5주 연속 상승률이 둔화세를 이어가고 있는 것이다.
서울 재건축 시장은 0.12% 하락했다. ▲강동(-0.29%) ▲강남(-0.23%) ▲서초(-0.03%) 지역에서 재건축 하락폭이 커졌다.
서울은 ▲금천(0.34%) ▲중랑(0.27%) ▲구로(0.24%) ▲관악(0.11%) ▲양천(0.09%) ▲은평(0.08%) ▲동작(0.07%)이 상승했다.
반면 ▲강남(-0.10%) ▲강동(-0.06%) ▲용산(-0.01%) 지역은 하락했다. 강남은 매수자들이 추가 가격 하락을 기대하며 거래에 나서지 않아 대치동 은마가 2000만~3500만원 하락했다.
강동은 둔촌동 둔촌주공1~3단지 가격이 500만~2500만원 떨어졌다. 용산은 이촌동 한가람건영2차가 2000만원 떨어졌다.
신도시는 ▲평촌(0.13%) ▲일산(0.11%) ▲김포한강(0.07%) ▲산본(0.06%) ▲판교(0.06%) 지역이 상승했다. 규제를 빗겨간 평촌, 일산 등 1기신도시는 편리한 생활여건까지 갖춰 실수요자들로부터 매수세가 이어졌다.
평촌은 호계동 목련우성7단지가 1000만~1500만원, 비산동 관악청구가 500만~1000만원 올랐다. 일산은 백석동 흰돌3단지국제한진이 750만~1000만원, 백송5단지삼호풍림이 750만~2000만원 상승했다.
경기·인천은 ▲의왕(0.19%) ▲부천(0.12%) ▲군포(0.11%) ▲시흥(0.11%) ▲광주(0.07%) ▲안양(0.06%) ▲성남(0.05%) ▲하남(0.05%) ▲인천(0.04%) 지역이 올랐다.
전세시장은 안정세를 이어가고 있다. 서울(0.03%)과 경기·인천(0.01%)은 전주와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신도시는 동탄2신도시 입주물량 여파로 0.03% 하락했다.
서울은 ▲관악(0.20%) ▲구로(0.11%) ▲용산(0.11%) ▲강동(0.08%) ▲강북(0.08%) ▲서대문(0.07%) ▲동대문(0.05%) ▲은평(0.05%) 지역이 올랐다.
신도시는 ▲광교(0.03%) ▲김포한강(0.02%) ▲평촌(0.01%) ▲산본(0.01%) 지역이 올랐다. 광교는 광교호반베르디움이 500만원 상승했다.
반면 ▲동탄(-0.21%) ▲판교(-0.03%) ▲일산(-0.01%) 지역은 하락했다. 동탄은 동탄2신도시 입주영향으로 동탄1신도시 전세가격 하락폭이 커지고 있다.
경기·인천은 ▲광주(0.14%) ▲인천(0.06%) ▲구리(0.05%) ▲김포(0.05%) ▲부천(0.05%) ▲파주(0.05%) 지역이 올랐다.
반면 경기도 외곽과 입주물량이 집중된 곳에서 전세가격이 하락했다. ▲오산(-0.25%) ▲의정부(-0.24%) ▲과천(-0.16%) ▲광명(-0.04%) ▲화성(-0.01%) ▲수원(-0.01%) 지역이 떨어졌다.
이미윤 부동산114 책임연구원은 "주택구입 자금을 옥죄는 대출규제가 추가로 발표되면 매수 심리가 위축돼 가격 하락세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며 "북한의 지정학정 리스크와 가계부채대책 추가 발표 예고로 8.2대책의 효과가 하반기까지 이어져 주택시장의 안정화가 유지될 것으로 보고 있어 금리 움직임에 귀추가 주목된다"고 전했다.
그는 또 "청약 수요가 몰리면서 재건축 시장에 청약열풍이 이어질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지만 대출제한과 청약규제 강화로 과열현상 지속이 쉽지 않을 전망"이라며 "재건축 이주수요 발생 지역에서 국지적인 전세가격 상승이 나타나지만 인근지역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고, 입주물량이 집중된 2기신도시와 인근 지역의 전세가격 하락세가 길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