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른정당 통합파 탈당 시기 놓고 고심…"11월 초 유력"
전대 이전 11월 첫째 주 유력
한국당 "홍준표 대표에게 힘 실어달라"
자유한국당의 내분이 보수 '부분통합'의 변수로 부상했다.
한국당이 친박청산을 놓고 당내 갈등을 겪으면서 바른정당 통합파 내부에서는 홍준표 한국당 대표에게 힘을 실어주기 위해 탈당을 서둘러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바른정당 통합파의 탈당 시점은 한국당의 집안싸움과 상관없이 빨라도 11월 첫째 주가 될 것으로 보인다. 통합파 인사들은 국정감사가 열리는 오는 31일까지 행동하지 않겠다고 공언한 바 있어, 바른정당 전당대회(11월 13일) 이전인 11월 초가 유력하다.
통합파들은 여전히 양당 지도부 간 논의를 통한 당대 당 방식의 전면통합 가능성에 일말의 기대를 걸고 있지만, 자강파의 완강한 반대로 인해 사실상 일부 의원들이 이탈해 한국당에 복당하는 부분통합 방식으로 진행될 전망이라는 게 대체적인 관측이다.
친홍(친홍준표)계 인사들은 바른정당 탈당파들에게 하루 속히 복당하라고 공개적으로 요구하고 있다.
홍문효 한국당 사무총장은 지난 24일 오전 YTN 라디오와의 인터뷰에서 "(탈당파들이) 좀 빨리 오기를 바라는 뜻에서 어떤 데드라인을, 한계를 두고 진행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라고 말했다.
한국당이 박근혜 전 대통령과 친박계 핵심인 서청원·최경환 의원에 대한 출당 조치 착수로 내분에 휩싸인 것이 바른정당 통합파들의 조기 탈당을 부채질하고 있는 셈이다. 이런 가운데 바른정당 자강파들은 한국당의 집안싸움으로 오히려 탈당 명분이 약해졌다고 자평하는 분위기다.
하태경 최고위원은 "국민이 보기에 홍 대표나 서청원 의원은 둘 다 썩은 보수"라며 "탈당 명분이 확 약해지면서 탈당 규모는 최대 5명으로, 극소수에 불과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자유한국당과 바른정당의 통합을 주도하는 양당 의원들의 모임인 '보수대통합 추진위원회'는 25일 오전 긴급 모임을 가지려 했으나 국정감사 이후로 논의를 연기하기로 했다.
회동에서는 조기 탈당 등 문제가 논의될 것으로 예상됐으나 모임이 연기됨에 따라 통합파의 조기 탈당도 사실상 물건너간 것으로 보인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