꼬이는 주주 사정...케이뱅크 자본확충 순항할까
연말 추가 유상증자 추진…은산분리 규제 걸림돌 작용
주요 주주 우리은행 CEO리스크 더해져 '산 넘어 산'
케이뱅크의 자본확충 계획이 꼬이고 있다. 은산분리 규제로 KT의 유상증자 참여 여력이 제한적인데다 주요 주주인 우리은행 역시 채용비리 의혹으로 수장 리스크가 수면 위로 떠오르면서 참여 여부가 불투명해졌기 때문이다.
23일 금융권에 따르면 케이뱅크는 지난 9월 1000억원의 1차 유상증자에 이어 연말에 추가 유상증자를 추진 중이다.
이번 유상증자가 성공적으로 진행되기 위해서는 우리은행, NH투자증권 등 주요 주주들의 참여가 중요하다.
지난 9월 증자 당시 케이뱅크는 19개 주주사에 지분 비율대로 배정했지만 7개 주주사가 증자에 참여하지 않아 272억원 규모의 실권주가 발생한 바 있다.
결국 부동산·금융회사 엠디엠(MDM)이 새롭게 참여해 약 140억원을 투자하고 KT, 우리은행, NH투자증권 등 주요 주주들이 의결권 없는 전환주 방식으로 나머지 주식을 인수했다.
이번 2차 유상증자 규모는 당초 계획했던 1500억원에서 확대될 것으로 예상돼 1차 유상증자 때와 같이 실권주 규모가 클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실권주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지분이 높은 주요주주들의 참여가 중요한 상황이다.
문제는 우리은행의 참여 여부가 불투명하다는 것이다. 우리은행은 채용비리와 차기 행장 등의 문제로 내홍을 겪고 있다.
물론 행장 부재와 케이뱅크의 주주로서 유상증자 참여는 별개의 문제라고 볼 수 있지만 내달 초 임원급 인사 및 내년도 사업계획에다 검찰의 채용비리 의혹 수사까지 내부적으로 해결해야하는 시급한 문제들이 쌓여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적극적인 참여가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현재 케이뱅크는 자본확충과 관련해 기존 주주들을 만나 2차 유상증자에 대한 의사를 묻는 동시에 은행 지분에 관심을 가진 기업들과도 접촉을 시도하고 있으며, 삼정KPMG 등을 통해 컨설팅을 진행하고 있다. 컨설팅 결과가 나오면 주주들을 만나 구체적인 자본확충안에 대해 설명할 계획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케이뱅크가 현재 기존 주주 및 새로운 투자자들과 만나는 등 시장 반응을 파악하고 조사하고 있다"며 "우리은행의 참여가 관건”이라고 말했다.
이어 “우리은행을 포함해 기존 주요 주주들이 유상증자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을 경우 실권주 발생에 대비한 새로운 투자자를 포섭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