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권, 지방선거와 개헌 동시 투표 압박하자
한국당,‘헌법개정 및 정치개혁특위’ 소집
여권, 지방선거와 개헌 동시 투표 압박하자
한국당,‘헌법개정 및 정치개혁특위’ 소집
6·13 지방선거를 앞두고 자유한국당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정부·여당의 지방선거와 개헌 동시투표 압박을 막아내야 하고, 극심한 인물난에 시달리고 있다.
한국당은 11일 문재인 대통령이 '지방선거 동시 개헌 국민투표'를 촉구하자 본격적인 저지에 나섰다.
한국당은 이날 국회에서 여야 3당 가운데 첫 번째로 ‘헌법개정 및 정치개혁특위’ 자체회의를 소집해 “지방선거용 나쁜 주장”, “국회무시 처사”라며 규탄했다.
김성태 원내대표는 “문 대통령이 신년사에서 지방선거와 별도의 개헌 국민투표를 하면 국민 세금을 더 써야 한다고 했다”며 “그러나 돈으로 환산할 수 없는 가치인 개헌을 돈으로 판단하는 것은 잘못된 생각”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투표에 들어가는 1200억 비용 때문에 나라의 기본틀을 바꾸는 개헌을 지방선거의 곁가지로 가져갈 수 없다”며 “한국당은 충분한 국회의 논의를 거쳐 올해 안에 국민개헌을 이뤄내겠다”고 다짐했다.
나경원 개헌 및 정개특위 위원은 “문 대통령이 신년사에서 보인 개헌 의지는 사실상 지방선거를 위한 것이고, 자유민주주의 체제를 훼손하는 나쁜 개헌 주장”이라고 지적했다.
나 위원은 이어 “(개헌에 대한) 국민적 요구는 제왕적 대통령제 종식”이라며 “어제 대통령이 기본권 부분만이라도 개헌을 하자고 한 것은 주객이 전도된 것”이라고 비판했다.
김진태 위원도 “여야가 국회에서 모여서 6월까지 특위 활동을 하기로 했는데 대통령이 개헌안을 2월까지 내라는 것은 국회 무시 처사”라며 “한국당만 항의할 게 아니라 정세균 국회의장도 함께 대통령께 항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인재영입도 한국당이 지방선거 필승을 위해 넘어야 할 산이다.
후보군에 오른 인물들이 당 안팎에서 흘러나오는 영입설에 대해 고사의 뜻을 밝히거나 소극적 태도를 유지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
직접 인재영입위원장을 맡은 홍준표 대표가 지난 8일부터 TK(대구·경북)을 시작으로 전국을 순회하며 각 지역 인재들을 접촉할 예정인 가운데, 인물난 극복 여부가 주목된다.
홍 대표는 11일 오후 3번째 방문 지역으로 충북을 찾아 충북도당 신년인사회에 참석할 예정이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