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文대통령 산업현장 찾아 "오히려 기회"…연일 '克日의지'


입력 2019.08.07 17:37 수정 2019.08.07 17:38        이충재 기자

현장간담회서 "기술력이 한나라 먹여살린다"

일본 경제보복 사태 이후 첫 산업현장 방문

현장간담회서 "기술력이 한나라 먹여살린다"
일본 경제보복 사태 이후 첫 산업현장 방문

문재인 대통령이 2018년 11월 8일 경북 포항 포스텍 4세대 방사광 가속기 연구소에서 실험장치를 살펴보고 있다.ⓒ청와대

문재인 대통령은 7일 경기 김포시의 정밀제어용 생산 감속기 전문기업 SBB테크를 방문해 일본의 경제보복에 따른 소재·부품·장비 국산화를 강조했다. 일본 경제보복 사태 이후 첫 산업현장 방문으로, 연일 강조해온 '극일(克日)'의 연장선상에 있다.

이날 문 대통령의 메시지도 기술력으로 일본을 뛰어넘자는 '기술 극일'에 맞춰졌다. 문 대통령은 "일본의 부품‧소재에 대한 의존도가 컸던 기업들에게 당장 어려움이 되고 있지만, 길게 보고 우리의 산업 생태계를 바꾸는 기회로 삼았나갔으면 한다"면서 "기술력이 한 나라를 먹여살린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이어 "이번 일본의 수출규제 조치로 인해 우리가 주요한 부품‧소재의 국산화 작업화를 서둘러야하고, 경쟁력을 높여야 한다는 정책적 목표가 모아지고 있다"면서 "국민들과 기업들이 반드시 전화위복의 계기로 삼아서 우리 경제와 산업을 더 키워낼 거라 믿는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임진왜란 때 일본이 가장 탐냈던 것도 우리의 도예가, 도공들이었다"면서 "우리가 식민지와 전쟁을 겪으면서도 우리 경제를 발전시킬 수 있었던 원동력도 기술력"이라고 밝혔다.

이공계 병역특례 거론…"늘릴 순 없지만 가급적 중소기업에"

아울러 문 대통령은 이공계의 전문연구요원 제도(병역특례) 확대 요구와 관련해 "병역특례의 경우도 병역 자원 때문에 전체적으로 늘릴 수는 없을 것"이라면서도 "가급적 중소기업 쪽에 많이 배분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해달라"고 말했다.

현재 국방부는 이공계 전문연구요원 제도 정원을 대폭 감축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이에 중소·중견기업을 비롯한 산업계와 이공계 대학은 "전문연구요원 감축 땐 인재‧기술 확보가 어려워진다"며 반발하고 있다.

이공계 전문연구요원제는 이공계 석‧박사가 4주 군사훈련 뒤 연구기관, 대학원, 방산업체 등에서 연구요원으로 3년간 근무할 경우 병역의무를 대체해주는 특례제도다.

'현장'을 네이버에서 지금 바로 구독해보세요!
이충재 기자 (cjlee@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이충재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