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간담회서 "기술력이 한나라 먹여살린다"
일본 경제보복 사태 이후 첫 산업현장 방문
현장간담회서 "기술력이 한나라 먹여살린다"
일본 경제보복 사태 이후 첫 산업현장 방문
문재인 대통령은 7일 경기 김포시의 정밀제어용 생산 감속기 전문기업 SBB테크를 방문해 일본의 경제보복에 따른 소재·부품·장비 국산화를 강조했다. 일본 경제보복 사태 이후 첫 산업현장 방문으로, 연일 강조해온 '극일(克日)'의 연장선상에 있다.
이날 문 대통령의 메시지도 기술력으로 일본을 뛰어넘자는 '기술 극일'에 맞춰졌다. 문 대통령은 "일본의 부품‧소재에 대한 의존도가 컸던 기업들에게 당장 어려움이 되고 있지만, 길게 보고 우리의 산업 생태계를 바꾸는 기회로 삼았나갔으면 한다"면서 "기술력이 한 나라를 먹여살린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이어 "이번 일본의 수출규제 조치로 인해 우리가 주요한 부품‧소재의 국산화 작업화를 서둘러야하고, 경쟁력을 높여야 한다는 정책적 목표가 모아지고 있다"면서 "국민들과 기업들이 반드시 전화위복의 계기로 삼아서 우리 경제와 산업을 더 키워낼 거라 믿는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임진왜란 때 일본이 가장 탐냈던 것도 우리의 도예가, 도공들이었다"면서 "우리가 식민지와 전쟁을 겪으면서도 우리 경제를 발전시킬 수 있었던 원동력도 기술력"이라고 밝혔다.
이공계 병역특례 거론…"늘릴 순 없지만 가급적 중소기업에"
아울러 문 대통령은 이공계의 전문연구요원 제도(병역특례) 확대 요구와 관련해 "병역특례의 경우도 병역 자원 때문에 전체적으로 늘릴 수는 없을 것"이라면서도 "가급적 중소기업 쪽에 많이 배분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해달라"고 말했다.
현재 국방부는 이공계 전문연구요원 제도 정원을 대폭 감축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이에 중소·중견기업을 비롯한 산업계와 이공계 대학은 "전문연구요원 감축 땐 인재‧기술 확보가 어려워진다"며 반발하고 있다.
이공계 전문연구요원제는 이공계 석‧박사가 4주 군사훈련 뒤 연구기관, 대학원, 방산업체 등에서 연구요원으로 3년간 근무할 경우 병역의무를 대체해주는 특례제도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