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가격 경쟁력 약화 및 해외수요 둔화 우려
국제원자재 가격 상승·국내 소비여력 축소로 수입도 부담
최근 중동지역 리스크가 높아지면서 유가가 배럴당 80달러 이상 급등하면 한국의 수출 경쟁력이 약화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아울러 고유가가 지속되면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은 물론 국내 소비여력 축소로 수입 부담이 가중될 것으로 예상됐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은 15일 ‘중동 불안이 국제유가와 수출입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를 통해 국제유가가 안정적인 흐름에서 10% 상승할 경우 수출단가 상승, 산유국 재정개선, 해양플랜트 수주·인도 확대 등에 힘입어 대(對)세계 수출이 3.2% 늘어날 것으로 추정했다.
다만 수입은 원유 수입단가 상승으로 3.3% 늘어나면서 무역수지가 악화될 것으로 봤다. 업종별로는 석유제품, 석유화학, 철강제품, 선박, 자동차 등에서 유가 상승에 따른 단가 상승으로 수출증대 효과가 예상된다.
한국 수출에 대한 유가 영향은 확대되고 있다. 대표 품목인 석유화학, 석유제품 수출 비중은 2000년 10.9%에서 2018년 16.0%로 늘었고 수출시장도 금융위기 이후 중국과 산유국 등 신흥국 수출이 50% 이상으로 증가했다.
현재 국제유가(두바이유)는 석유수출국기구(OPEC) 감산, 미·중 무역협상 타결 기대감, 중동 긴장 등으로 이달 들어 배럴당 70달러 가까이 상승했으나 미국이 군사적 대응 대신 추가 경제제재 강화를 발표하면서 상승세가 완화됐다.
미국과 이란 간 핵협상이 교착상태에 빠지고 전 세계 원유해상 수송량의 30%를 차지하는 호르무즈 해협을 둘러싸고 군사적 대치 상황까지 가면 유가는 배럴당 80달러 이상으로 급등할 가능성이 있다.
고유가가 장기화되면 한국은 수출가격 경쟁력 약화 및 해외수요 둔화로 수출 감소가 우려되며 국제원자재 가격 상승 및 국내 소비여력 축소로 수입에도 부담이 가중될 것으로 전망됐다.
중장기적으로 원유수입국인 선진국을 중심으로 기업의 에너지 비용 증가, 소비자의 휘발유 비용부담 상승 등으로 세계경기 둔화도 우려된다.
실제 2018년 5월 핵합의 재협상을 요구하는 트럼프 대통령이 핵합의 탈퇴 후 대(對)이란 제재를 이어가고 있으며, 지난해 5월에는 미국이 한국에 대한 이란산 원유수입 금지 유예 조치를 종료함에 따라 한국-이란 간 원화결제 시스템이 동결되면서 이란 교역 및 해외 진출에 타격을 미쳤다.
이에 따라 지난해 1~11월 한국의 對이란 수출과 수입은 전년대비 각각 88.6%, 47.8% 감소했다.
문병기 무협 수석연구원은 “중동 불안에 따른 실물경제 동향 및 수출기업 애로사항을 발굴하고 대응전략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며 “중동의 지정학적 리스크 고조와 국제유가 급등시 채산성 악화와 수출가격 경쟁력 약화가 예상되므로 수출시장 및 원유 수입선 다변화, 에너지 신산업 육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