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LGU+ 이어 SKT도 대리점 상생방안 예고
카카오 “재난에도 끊김 없는 서비스 제공 노력”
이동통신사들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도 통신에 이상이 없도록 전문인력 풀을 구성하고, 근무지 폐쇄 시 원격 망을 운용하는 시스템을 구축했다.
이통사들은 3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관으로 열린 ‘코로나19 대비 방송·통신·인터넷서비스 비상 대응체계’ 점검회의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날 회의에는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SK브로드밴드 등 주요 통신사업자와 LG헬로비전, 티브로드, 딜라이브 등 유료방송 사업자, 한국인터넷진흥원, 카카오 관계자 등이 참석했다. 회의는 코로나19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대면 회의가 아닌 원격 영상회의 방식으로 진행됐다.
먼저 통신사업자들은 감염으로 인한 운용인력 부족에 대비해 망 관리·운용 경험이 있는 직원과 운용협력사 직원들로 전문인력 풀을 구성했다고 설명했다. 사업장의 근무자가 동시에 격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운용인력을 A조(운용조)·B조(백업조)로 구분하고, 예비로 C조(운용 경험 인력)를 추가 편성했다.
일부 통신국사가 폐쇄되더라도 다른 국사에서 원격으로 통신망을 운용할 수 있도록 원격 망 운용시스템을 구축했다. 지역별·중요 통신시설별로 대체 운용 국사도 지정한 상태다.
KT와 SK텔레콤은 망 관제센터가 폐쇄되는 경우 이원화 국사에서 망 관제를 수행한다. LG유플러스나 SK브로드밴드는 임시로 전국 망 관제가 가능한 시설을 구축해 대비하고 있다.
KT와 LG유플러스는 코로나19로 타격을 받은 대리점에 대해 임대료 감면과 운영자금 지원 등의 상생 방안을 마련해 시행 중이다. SK텔레콤은 전국 직영 유통망과 네트워크 협력사를 대상으로 상생 방안을 만들어 금명간 발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유료방송사업자는 디지털미디어센터(DMC)의 이원화와 원격제어를 통한 방송 시스템과 네트워크 관리 등을 통해 방송의 지속성을 확보하고 있다.
카카오는 전날 발생한 카카오톡 서비스 장애와 관련해 트래픽 과부하가 아니라 네트워크 장비에 오류가 발생했다고 설명했다. 카카오 측은 “장비 오류를 즉시 감지해 대처했지만, 서버 재부팅 등으로 서비스 정상화까지는 80여분이 소요됐다”며 “재난 시에도 메신저 서비스가 끊김 없이 이용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장석영 과기정통부 제2차관은 “카카오는 기간통신망을 보유하고 있는 사업자는 아니지만, 대다수 국민이 애용하는 서비스인 만큼 장애 방지에 더 각별히 노력해달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