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오세훈 서울시장 출마선언…"인턴시장·연습시장 안돼"


입력 2021.01.17 11:38 수정 2021.01.17 11:54        정도원 기자 (united97@dailian.co.kr)

"당선 다음날부터 시정 지휘할 시장 필요하다

초보시장의 시행착오를 기다려줄 여유 없어

문정부 3년간 서울 아파트 중윗값 52% 폭등

대통령, 각료와 광화문광장 엎드려 사죄하라"

오세훈 전 서울특별시장이 지난 7일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출마 의사를 밝히고 있다. ⓒ데일리안 박항구 기자

오세훈 전 서울특별시장이 4·7 서울시장 보궐선거 정식 출사표를 던졌다.


오세훈 전 시장은 17일 오전 북서울꿈의숲 경사잔디마당에서 출마선언식을 가졌다. 북서울꿈의숲은 오 전 시장이 지난 2009년 서울시장으로 재직하던 당시, 드림랜드 부지 66만㎡에 조성한 시민공원이다.


이날 출마선언에서 오 전 시장은 지난 2006년부터 2011년까지 시장으로 재직했던 자신이 가장 '준비된 후보'임을 강조했다. 이번 서울시장 선거는 보궐선거이기 때문에 당선 이튿날부터 바로 업무에 착수해야 한다는 점에 착안해, 주요 후보들 중 유일하게 시장 재직 경력이 있는 강점을 부각한 것으로 분석된다.


오세훈 전 시장은 "전임 시장의 성추행 범죄로 시장직이 궐석이 되면서 폭설 하나 제대로 대비하지 못해 도시가 멈춰서는 등 한마디로 빈사 상태"라며 "이런 위기의 서울을 살리기 위해서는 당선 다음날부터 당장 시정을 진두지휘하며 심폐소생술을 할 수 있는 경험 있는 노련한 시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아울러 "이번 4월 보궐선거를 통해 당선된 서울시장이 일할 수 있는 시간은 채 1년도 되지 않는다"며 "빈사 상태의 서울은 아마추어 초보시장, 1년짜리 인턴시장·연습시장의 시행착오와 정책 실험을 기다려줄 여유가 없다"고 덧붙였다.


범야권 단일 후보 경쟁은 오 전 시장의 가세로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 나경원 국민의힘 전 원내대표와의 3파전으로 전개될 전망이다. 오 전 시장은 선명성을 부각하기 위해 출마선언에서부터 문재인정권에 강력하게 날을 세웠다.


오세훈 전 시장은 "자고 나면 치솟는 집값으로 문재인정부 3년 동안 서울의 아파트 중윗값이 52%나 폭등했고, 상승폭은 이명박·박근혜정부 9년과 비교할 때 4배 이상 커졌다"며 "부동산값 폭등으로 상위 20%와 하위 20%의 순자산 격차는 문재인정부가 들어선 2017년 100배에서 2020년 167배로 더 벌어져 빈부격차와 양극화의 골은 되돌릴 수 없을 만큼 깊어졌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국민통합이 아닌 분열, 독재와 법치무시, 공정과 상식의 파괴는 문 대통령의 석고대죄로도 부족하다"며 "문재인 대통령은 전 각료와 함께 광화문광장에 엎드려 국민께 사죄해야 한다"고 직격탄을 날렸다.


한편 오 전 시장은 지난 7일 자신의 이른바 '조건부 출마선언'이 다소 어색하고 이상했다는 당 안팎의 지적을 의식한 듯 이날 출마선언에서 이 점에 대해 사과했다. 또, 10년전 시장직을 중도사퇴함으로써 '박원순 시정'의 '잃어버린 10년'을 초래했던 점에 대해서도 함께 사과했다.


오세훈 전 시장은 "정권교체의 초석이 될 서울시장 선거의 승리를 위해서 야권이 통합되면 불출마하고 그렇지 않으면 나설 수밖에 없다고 배수진을 쳤다"며 "'야권 단일화'를 이뤄내야 한다는 충정에서 한 결단이었지만, 당원 동지 여러분과 나의 출마를 바라는 분들의 뜻을 충분히 헤아리지 못한 점 사과드린다"고 말했다.


이어 "오세훈은 국민 여러분과 우리 사회로부터 누구보다 많은 혜택을 받았고, 시장직 중도사퇴로 큰 빚을 졌다"며 "속죄하는 마음으로, 더 큰 책임감으로 이 자리에 섰다"고 밝혔다.


다음은 이날 오세훈 전 시장의 출마선언 전문이다.


[오세훈 전 서울특별시장 4·7 보궐선거 출마선언]


존경하는 국민 여러분, 서울시민 여러분! 오늘 하루는 또 얼마나 힘드셨습니까? 코로나19 직격탄을 맞은 소상공인과 자영업자 여러분! 얼마나 살길이 막막하십니까?


지난 1월 7일, 저는 정치적 이해관계를 떠나 향후 정권교체의 초석이 될 서울시장 선거의 승리를 위해서 야권이 통합되면 불출마하고 그렇지 않으면 제가 나설 수밖에 없다고 배수진을 쳤습니다.


그러나 유감스럽게도 이제 사전 통합을 기대하기 어려워졌습니다. 정권교체를 위해 '야권 단일화'를 반드시 이뤄내야 한다는 충정에서 한 결단이었고 야권분열의 가능성을 사전에 100% 차단할 수 있는 방안이라 판단돼 행한 제안이었지만, 그에 앞서 당원 동지 여러분과 저의 출마를 바라는 분들의 뜻을 충분히 헤아리지 못한 점 사과드립니다.


10년 전 서울시장직 중도사퇴로 서울시민 여러분과 우리 당에 큰 빚을 진 사람이 이렇게 나서는 게 맞는지 오랜 시간 자책감에 개인적 고뇌도 컸습니다. 돌이켜보면 저 오세훈은 국민 여러분과 우리 사회로부터 누구보다 많은 혜택을 받았고, 시장직 중도사퇴로 큰 빚을 졌습니다.


서울시민 여러분이 선택해 주셔서 마흔다섯 젊은 나이에 최연소 민선시장이 되어 5년 동안 수도 서울의 행정을 이끌며 값진 경험과 경륜을 쌓을 수 있었습니다. 그 과정에서 미숙한 선택도 있었고, 미처 다하지 못한 과제들도 남아있습니다. 그래서 속죄하는 마음으로, 더 큰 책임감으로 이 자리에 섰습니다.


절치부심하며 지낸 지난 10년은 저 자신을 돌아보고 차근차근 미래를 준비하는 소중한 시간이었습니다. 실패를 통해 더 유연하고 단단한 사람이 될 수 있었습니다. 이제 국가적 위기 앞에서 제가 여러분과 사회로부터 받은 수혜만큼 미력하나마 앞장서 최선을 다하는 것이 도리라고 생각합니다.


존경하는 국민 여러분, 서울 시민 여러분!


하룻밤 자고 나면 치솟는 집값으로 부동산 광풍이 불어 문재인정부 3년 동안 서울의 아파트 중윗값이 52%나 폭등했고, 상승폭은 이명박·박근혜정부 9년과 비교할 때 4배 이상 커졌습니다. 집 한 칸 없는 서민들은 전셋집도 씨가 말라 외곽으로 내몰리다 급기야 청년들까지 소위 '영끌'을 해서 이 부동산 대란에 뛰어들고 있습니다.


부동산값 폭등으로 상위 20%와 하위 20%의 순자산 격차는 문재인정부가 들어선 2017년 100배에서 2020년 167배로 더 벌어져 빈부격차와 양극화의 골은 되돌릴 수 없을 만큼 깊어졌습니다. 이런 판국에 누가 땀 흘려 일하면 작은 집이라도 마련하고 좀 더 나은 삶을 살 수 있다는 소박한 희망인들 가질 수 있을까요.


국민통합이 아닌 분열, 독재와 법치무시, 공정과 상식의 파괴는 문 대통령의 석고대죄로도 부족합니다. 문재인정권의 돌이킬 수 없는 더 큰 죄는 그들이 그렇게 앞세웠던 서민과 취약계층, 청년들의 삶을 벼랑 끝까지 내몰고, 계층 이동의 사다리를 걷어차 미래에 대한 희망의 싹을 아예 잘라버린 것입니다. 문재인 대통령은 전 각료와 함께 광화문광장에 엎드려 국민께 사죄해야 합니다.


사랑하는 국민 여러분, 서울시민 여러분!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이 준비되지 않은 무지무능한 문재인정권의 실정과 실패가 피와 땀으로 일군 대한민국의 실패, 국민 모두의 실패가 되게 할 순 없습니다. 이것이 제가 서울시장 출마를 결심한 절박한 이유입니다.


정권교체를 위해서는 반드시 서울시장 선거에서 승리해야 하고, 나라가 살려면 수도 서울이 살아야 합니다. 서울이 멈추면 곧 대한민국이 멈춥니다.


그런데 지금 서울은 여전히 코로나19로 시민들의 생명이 위협받고 집값 폭등으로 투전판이 된지 오래입니다. 문을 닫는 가게들이 속출하면서 불 꺼진 유령거리가 늘어나고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들은 혹한에 거리로 내몰리고 있습니다.


전임 시장의 성추행범죄로 시장직이 궐석이 되면서 폭설 하나 제대로 대비하지 못해 도시가 멈춰서는 등 한마디로 빈사 상태입니다.


이런 위기의 서울을 살리기 위해서는 당선 다음 날부터 당장 시정을 진두지휘하며 심폐소생술을 할 수 있는 경험 있는 노련한 시장이 필요합니다. 구호와 이상만 있었지 경험도 준비도 없었던 문재인정권의 실정이 우리에겐 가장 큰 반면교사입니다.


저 오세훈에게는 다른 후보들이 갖지 못한 재선 시장으로 5년 동안 쌓은 '시정 경험'이라는 비장의 무기가 있습니다.


인구 천만에, 한 해 예산만 40조가 넘고 자치구까지 합하면 소속된 공무원 수만 4만5000명에 달하는 서울시는 그야말로 국방을 제외한 경제와 일자리·건설과 교통·주택과 복지·환경·문화 등 모든 정책과 기능을 관장하는 작은 정부나 다름없습니다.


그런데 이번 4월 보궐선거를 통해 당선된 서울시장이 일할 수 있는 시간은 채 1년도 되지 않습니다. 그 짧은 시간엔 방대한 서울시 조직과 사업을 제대로 파악하는 것조차 불가능합니다. 시정 혼란과 공백으로 인한 시민들의 고통은 불을 보듯 뻔합니다.


빈사 상태의 서울은 아마추어 초보시장, 1년짜리 인턴시장·연습시장의 시행착오와 정책 실험을 기다려줄 여유가 없습니다. 그래서 더더욱 이번 서울시장에겐 당장 선거 다음날 일을 시작할 수 있는 서울시정에 대한 이해와 경험이 중요한 것입니다.


존경하는 국민 여러분, 서울시민 여러분!


이제 저는 먼저 제1야당인 국민의힘 서울시장 후보를 목표로 저의 충정과 정책과 비전을 알리며 최선을 다해 임하겠습니다. 그리고 반드시 서울시장 선거에서 승리해 국민 여러분과 함께 2022년 정권교체의 소명을 이뤄내겠습니다.


야권 후보 단일화라는 시대적 요구와 과제는 정권교체를 열망하는 현명하신 국민과 서울시민 여러분이 반드시 이루어주실 것으로 믿습니다.


감사합니다.

정도원 기자 (united97@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