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호 접종 논란 속 文, "대통령은 언제 기회 줍니까"
"대통령은 언제 맞지요."
문재인 대통령이 26일 서울 마포구 보건소를 찾아 코로나19 백신 1호 접종자들의 접종 모습을 지켜봤다. 이 과정에서 백신 안전성 우려를 불식하기 위해 대통령이 1호 접종을 해야 한다는 논란이 벌어진 것과 관련해 문 대통령이 직접 언급하면서 주목된다.
문 대통령은 전국 만 65세 미만의 요양병원·시설 입소자 및 종사자 약 29만 명을 대상으로 1호 접종이 시작된 이날 오전 9시 마포구 보건소를 찾았다. 문 대통령은 먼저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으로부터 백신 접종 계획을 보고 받았다.
문 대통령은 정 청장에게 "우리 청장님은 언제 (백신을) 맞느냐"면서 "대통령은 언제 맞느냐"고 말했다. 그러자 전해철 행정안전부 장관은 "청장님 대답 잘하셔야 될 것"이라고 했고 이에 정 청장은 "순서가 좀 늦게 오시기를 (바란다)"고 답했다.
▲박근혜, 벌금·추징금 215억 미납…검찰, 강제집행 검토
국정농단 등 혐의로 유죄가 확정된 박근혜 전 대통령이 기한 내 벌금과 추징금을 전혀 납부하지 않아 검찰이 강제집행 절차에 돌입할 예정이다.
26일 법조계에 따르면 박 전 대통령은 지난달 대법원에서 징역 20년과 함께 벌금 180억원과 추징금 35억원이 확정됐지만 벌금 자진납부 기한인 지난 22일까지 벌금을 1원도 내지 않았다. 벌금 납부 계획을 알려온 것도 없다.
이에 따라 서울중앙지검은 박 전 대통령의 내곡동 주택 등 재판 과정에서 동결한 재산에 대한 환수 절차를 밟는 등 강제집행 방법을 고민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세균 "5인 이상 모임 금지·영업시간 제한 현행 유지"
정세균 국무총리는 26일 사회적 거리두기와 관련해 "5인 이상 모임 금지와 영업시간 제한도 현행대로 유지하겠다"고 밝혔다.
정 총리는 이날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만약 대다수 국민들이 백신을 맞기도 전에 재유행이 시작된다면 의료자원이 부족해질 수밖에 없다. 감염 확산으로 불안감이 커지면 서로 백신을 맞겠다고 주장한다면 사회적 갈등이 격화될 수도 있다"면서 이 같이 말했다.
▲임성근 "인사조차 못하고 이렇게 떠난다"
오는 28일 퇴임하는 임성근 부산고법 부장판사가 퇴임 인사글을 올렸다. '재판 개입' 의혹에 대해서는 별다른 입장을 밝히지 않았고, 사상 초유의 법관 탄핵심판에 소추된 점도 언급하지 않았다.
임 부장판사는 26일 법원 내부망에 올린 글에서 "여러분께 큰 심려를 끼쳐 너무도 송구스럽다는 말씀드린다"며 "만나면 헤어짐이 세상의 섭리여서 언젠가는 법원을 떠날 줄 알았지만, 인사조차 하지 못한 채 이렇게 떠나리라고는 상상조차 하지 못했다"며 진한 아쉬움을 나타냈다.
임 부장판사는 세월호 침몰 당일 박근혜 대통령의 '추문설'을 보도해 명예훼손 혐의로 기소된 일본 산케이신문 서울지국장의 재판 등에 개입한 혐의로 재판을 받던 중 지난 4일 국회에서 탄핵소추안이 의결됐다.
▲기성용 성폭행 폭로자 "비도덕 행태 계속되면 증거 공개할 수도"
축구 선수 기성용의 '성폭력 의혹'을 폭로한 제보자들이 "증거는 충분하고 명확하다"고 재차 강조했다.
26일 법무법인 현 박지훈 변호사는 "기성용 선수가 C와 D에게 성폭력 범죄를 저지른 것은 움직일 수 없는 사실"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박 변호사는 "C와 D가 직접 경험하지 않았더라면 알 수 없는 사항까지도 매우 상세하게 기억하고 있다"고도 밝혔다. 이어 박 변호사는 "기성용 선수가 피해자 C씨에게 특별히 행위를 면제해 준 날이 있었는데, 당시 어떠한 상황에서 기성용 선수가 무슨 말을 하며 피해자 C씨에게 '은전'을 베풀었는지 피해자 C씨는 매우 생생하게 기억하고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