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도통신 "日, 지난달 개최된
韓美日 북핵수석대표 회동서
종전선언 시기상조 입장 밝혀"
일본이 문재인 정부가 추진 중인 한반도 종전선언에 부정적 입장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이 대북정책과 관련한 한미일 공조를 거듭 강조해온 만큼, 문 정부 종전선언 구상이 탄력을 받기 어려워졌다는 평가다.
7일 외교가에 따르면, 일본 교도통신은 전날 복수의 외교 소식통을 인용한 보도에서 지난달 19일 미국 워싱턴DC에서 개최된 한미일 북핵수석대표 회동 당시 일본 측 대표가 종전선언에 대해 '시기상조'라는 입장을 표했다고 전했다.
해당 회동에는 노규덕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 성 김 미국 국무부 대북특별대표, 후나코시 다케히로 일본 외무성 아시아·대양주국장이 참석했다. 기시다 후미오 신임 일본 총리 선출 이후 3개국 대표가 머리를 맞댄 것은 이번이 처음이었다.
보도에 따르면, 노 본부장은 문재인 대통령의 유엔 연설 내용을 언급하며 종전선언의 유용성을 거듭 설명했다고 한다. 이에 후나코시 국장은 북한이 미사일 시험발사를 거듭하고 있다는 점을 거론하며 종전선언이 시기상조라는 태도를 보였다고 한다. 성 김 대표는 종전선언에 대한 찬반 입장을 명확히 밝히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일본 아사히신문의 마키노 요시히로 외교전문기자 역시 지난 4일 보도된 자유아시아방송(RFA)과의 인터뷰에서 "일본 정부는 (한미가) 종전선언 내용을 검토하고 있는 것 자체를 거부하며 10월 말 워싱턴에서 있었던 한미일 고위급협의에서도 반대 입장만 되풀이한 것으로 듣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통신은 일본이 종전선언에 사실상 선을 그은 배경으로 '일본인 납치 문제'를 언급했다. 종전선언으로 인해 북한의 일본인 납치 문제가 미해결 상태로 방치될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하고 있다는 것이다.
아울러 통신은 일본 정부가 북한의 지속되는 미사일 시험발사 및 핵개발에 주목해 한반도 현안에 있어 '선(先) 비핵화' 원칙을 유지하고 있다고 전했다.
한편 국내 전문가들은 문 정부가 동북아 질서에 영향을 줄 수밖에 없는 종전선언을 추진하며 일본의 협조를 적극적으로 구하지 않는 것은 현명한 접근이 아니라고 지적했다.
조한범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일본이 사실 그동안 (문 정부 대북구상에) 훼방을 많이 놨다"며 "그 이유 중 하나는 소외감"이라고 말했다.
조 선임연구위원은 "일본도 초미의 관심으로 종전선언을 보고 있다"며 "일본의 협력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