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트럼프 귀환'에 긴장하는 해운업계...늘려놓은 선복 어쩌나


입력 2024.11.08 13:47 수정 2024.11.08 13:59        정인혁 기자 (jinh@dailian.co.kr)

7일(현지시간) 트럼프 당선을 보도한 영국 신문사들 ⓒAF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의 백악관 복귀로 국제 통상 환경의 격변이 예상되는 가운데, 국내 해운업계에 미칠 파장에 이목이 집중된다. 업계는 중국을 견제하기 위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인상 조치가 태평양 항로의 물동량 감소를 불러올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당장은 중국발 밀어내기식 물량이 급증해 해운사는 단기적으로 수익을 높일 수 있지만, 물량 감소가 본격화되면 일감 부족을 대비해야 할 상황이다.


8일 업계에 따르면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은 후보 시절부터 약속한 관세 인상 카드를 실현 시킬 것으로 보인다. 구체적으로 모든 외국산 수입품에 보편 관세 10~20%, 특히 중국산 물품에 대한 관세는 60%까지 부과하고 최혜국 대우 지위 박탈도 현실화 가능성이 높다. 최혜국대우는 세계무역기구(WTO)의 규정에 따라 두 국가 사이의 무역관계에서 제3국에 부여하고 있는 모든 조건보다 불리하지 않은 대우를 해주는 것을 말한다.


트럼프 행정부 2기의 이같은 조치는 중국을 견제하는 동시에 무역적자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자국 우선주의에 기반했다. 문제는 이런 미국의 조치로 중국과 유럽연합(EU) 등이 맞대응에 나서며 벌어질 통상 환경의 변화다.


트럼프 1기부터 현 바이든 행정부까지 이어진 대중국 견제는 매번 통상 환경 변화를 만들었다. 트럼프는 2018년 중국에 7.5%~25%의 관세 폭탄을 퍼부었다. 바통을 이어받은 바이든 정부 역시 중국산 수입품에 약 180억 달러(한화 약 24조원) 관세 인상 조치를 내놨다. 이같은 조치 때마다 중국은 서둘러 저가 물량을 쏟아내며 시장의 혼란을 야기했다.


해운업계는 물동량이 증폭해 돈을 벌 기회지만, 문제는 글로벌 선사들이 선복 공급량을 대폭 늘리는 현 상황에서 물동량이 감소한 이후다.


올해 글로벌 신규 선복 공급량은 305만TEU(1TEU는 6m 길이 컨테이너 1개)로 역대 연간 공급량 중 최대치다. 일할 수 있는 선박이 이전보다 더 많이 투입된다는 의미다. 국내 최대 선사인 HMM도 코로나19 시절 발주해둔 선박이 속속 인도되며 선복량을 대폭 늘려가는 상황이다. 물동량이 많은 경우 다수의 선박으로 대응이 수월하겠지만, 물동량이 감소하면 노는 선박이 많아진다.


배는 늘어나고 물동량이 줄어드는 것은 해운업계가 가장 우려하는 부분이다. 업계 관계자는 "관세 부과는 무역 비용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무역 수요와 물동량을 모두 감소시킬 수 있다"면서 "해운 산업의 위축이 우려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양종서 한국수출입은행 수석연구원도 "앞서 트럼프 행정부 1기 당시에도 무역 분쟁이 격화하면서, 살아나던 해운업황이 미끄러진 사례가 있다"면서 "트럼프의 재집권 확정으로 컨테이너선 시장은 저성장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이어 양 수석연구원은 과거 비슷한 사례를 통해 터득한 대응책이 크게 효과가 없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과거에는 노후 선박을 폐선하는 조치가 있었는데, 현재 시장에 풀린 선박들은 대체로 젊어서 이런 방법도 소용이 없을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슬로 스티밍(감속 운항을 통해 의도적으로 선복 공급을 줄이는 방식) 전략을 통해 운임 하방에 대응하는 방법도 있지만 이마저도 큰 효용이 있을지는 미지수"라고 밝혔다.


일각에선 현재 중동 분쟁으로 수에즈 운하 운항이 계속 중단돼 고운임 상태가 지속되는 상황을 틈타 수익을 최대한 챙겨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트럼프 1기처럼 친이스라엘 기조를 유지해 중동 갈등이 심화하면, 현 시점보다 운임이 상승할 가능성이 높아서다.


양 수석연구원은 "여러 대비책이 필요한 상황인데, 큰 효과를 거둘지는 알 수 없는 상황"이라면서 "무역 환경이 크게 변화하지 않기를 바라면서, 코로나19 당시 벌어둔 현금으로 현 상황을 버텨가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정인혁 기자 (jinh@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