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간800만개 액상 바이알 생산 가능
신제품·점유율 확대 따른 글로벌 수요 신속 대응
생산 내재화 통한 공급 안정성 확보 및 원가 절감 기대
셀트리온은 인천경제자유구역청(IFEZ)으로부터 인천 송도 연수구에 증설하는 신규 완제의약품(DP) 공장의 착공허가를 획득했다고 14일 밝혔다.
신규 DP 공장은 연간 약 800만개의 액상 바이알을 제조할 수 있는 규모로 기존 1공장 인근 부지에 지어진다. 셀트리온은 지난 2023년 9월 DP 공장 증설을 결정하고 지난해 설계와 시공사 선정을 거쳐 이달 착공허가 절차를 마무리함에 따라 본격적인 착공에 돌입하게 됐다.
셀트리온은 내년 상반기까지 신규 DP 공장을 완공하고 2027년부터 본격적인 상업 생산을 시작할 계획이다. 이번 DP 공장에서는 트룩시마, 베그젤마 등 기존 판매 제품과 더불어 최근 허가가 이뤄진 아이덴젤트,스테키마, 앱토즈마 등 후속 액상 바이알 제품을 생산할 계획이다.
의약품은 크게 세포 배양, 정제 등의 과정을 거쳐 생산하는 원료의약품(DS)과 이를 환자에게 투여할 수 있도록 제형화 한 완제의약품(DP)으로 구분된다. 셀트리온은 신규 DP 공장 증설을 통해 의약품 공급 안정성과 비용 절감 등 여러 측면에서 경쟁력 강화가 이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현재 의약품 위탁생산(CMO)을 통해 생산하는 제품별 단가 대비 약 30%의 비용 감소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원가 경쟁력 강화로도 이어져 보다 적극적인 해외 입찰 시장 참여나 매출 증대로 이어질 전망이다.
DP 생산 내재화 비율이 늘어나는 만큼 글로벌 공급 전략의 유연화도 기대된다. 향후 DS와 DP 공급에 선택폭이 늘어나면서 국가별 상황과 수출 목적에 맞춰 적시에 공급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셀트리온은 자사 제품 확대와 늘어나는 글로벌 의약품 수요에 대응해 본격적인 생산 경쟁력 강화에 나서고 있다. 이미 DS 부문은 기존 10만리터 규모의 1공장, 9만리터 규모의 2공장에 더해 최근 상업 생산에 돌입한 6만리터 규모의 3공장 등 총 25만리터 규모의 생산 역량을 확보했다.
DP 부문은 연간 약 400만개 액상 바이알이 생산 가능한 기존 2공장 생산라인에 더해 이번 DP 공장 증설로 총 연간 1200만개 액상 바이알 제조 규모를 갖추게 됐다.
셀트리온 관계자는 “이번 DP 공장 증설을 통해 셀트리온은 글로벌 수요 확대와 신제품 출시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고품질 의약품을 보다 원활히 공급할 수 있게 됐다”며 “생산 역량과 원가 경쟁력 강화로 글로벌 시장 진출을 가속화하고 회사 성장을 확대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