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당 매매 거래가격 4000만원선 붕괴
서울 아파트 3.3㎡당 매매가격이 4000만원 밑으로 떨어졌다.
17일 직방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를 분석한 결과 1월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거래가격은 3.3㎡당 3996만원으로, 한 달 전 대비 5.2%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4분기부터 조여진 대출 여파와 더불어 연초 탄핵 국정 이슈 및 대외적 리스크 압박으로 최근 국내 주택시장 분위기는 급속도로 냉각됐다.
매수심리가 얼어붙고 거래량이 줄자 저가 매물 위주의 거래, 고가 거래 비중 감소로 평균 매매거래 가격이 낮아진 것으로 보인다.
평균 매매거래가격이 낮아진 자치구로는 ▲서초구 -12.6% ▲강북구 -5.9% ▲관악구 -5.6% ▲은평구 -4.3% ▲강서구 -3.7% 순이다.
서초구의 1월 평균 매매가격은 7639만원으로 한 달 전 8742만원 대비 12.6% 낮아졌다. 1월 매매거래량 자체도 87건으로 한 달 전 146건 대비 40%가량 감소한 가운데 래미안원베일리 등 랜드마크 고가 단지 거래 비중이 줄며 평균 거래가격이 낮아졌다.
1월 서초구의 15억원 초과 매매 거래 비중은 74.7%로 지난 해 12월(83.6%)보다 8.9%p 감소했다.
강북구는 전용 85㎡ 이하의 소규모 단지의 저가 매물이 거래되며 매매가격 수준이 하락했다.
한편 평균 매매거래 가격이 오른 지역으로는 ▲종로구 31% ▲서대문구 10.7% ▲영등포구 6.3% ▲용산구 5.8% ▲도봉구 5.7% 순이다.
면적별 평균 매매 거래가격으로는 전용 85㎡ 초과의 면적구간 가격 하락폭이 가장 컸다.
1월 서울 전용 85㎡ 초과 구간의 평균 매매가격은 5068만원으로 한 달 전 5389만원보다 6% 낮았다.
최근 매수수요가 뜸해지면서 환금성, 구입자금 및 유지관리비 부담 등으로 중대형 면적대 거래가 줄어든 가운데 일부 저가 매물 위주의 거래로 다른 면적구간 대비 가격 하락폭이 컸던 것으로 분석된다. 그 외 면적구간으로는 전용 60㎡ 이하는 -2.8%, 60~85㎡ 면적대는 -4%의 변동률을 나타냈다.
경기 침체 우려와 정국 혼란으로 인해 최근 주택시장에 한파가 닥치며 매수 심리가 좀처럼 회복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1월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이달 12일 기준 2343건으로, 2023년 12월(1789건) 이후 가장 적은 수준이다. 당분간 이와 같은 주택시장 분위기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오는 7월 스트레스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3단계가 시행될 예정으로, 정부의 대출 규제가 계속됨에 따라 매수세 회복은 더욱 어려워질 가능성이 크다.
한편, 서울시는 잠실, 삼성, 대치, 청담 일대 대부분의 단지를 토지거래허가구역에서 해제했다. 이에 따라 해당 단지들은 앞으로 별도의 허가 없이 매매가 가능해지며, 실거주 의무 등 각종 제한이 사라진다.
김은선 직방 빅테이터실 랩장은 "거래가 자유로워지면서 그동안 규제로 인해 위축됐던 고가 지역에서 일부 거래가 발생할 것으로 보인다"며 "이에 따라 2월 매매 거래 가격이 반등할 가능성도 있으나, 이번 규제 해제가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된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