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공감할 수 있는 장르…불러줄 때까지 계속하고 싶다”
배우 최우식이 ‘그해 우리는’에 이어 또 한 번 달달한 로맨틱 코미디로 시청자들을 설레게 했다. 이나은 작가 특유의 현실적이면서 따뜻한 로맨스로 시청자들을 다시 만날 수 있어 최우식 또한 설렜다. ‘전작과 비슷하다’는 평가가 두렵지 않은 것은 아니지만, 좋아하는 작가의 애정하는 장르로 시청자들을 만나고 싶어 ‘욕심’을 냈다.
최우식은 사랑도 하고 싶고 꿈도 이루고 싶은 애매한 청춘들이 서로를 발견하고 영감이 돼주며 각자의 트라우마를 이겨내는 내용의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멜로무비’에서 단역 배우에서 영화 평론가가 되는 ‘영화광’ 고겸 역을 맡았다.
지난 2022년 SBS 드라마 ‘그해 우리는’을 쓴 이나은 작가와 또 한 번 호흡을 맞췄다. 당시 김다미와 풋풋하면서도 설레는 청춘의 로맨스를 현실적으로 그려 호평을 받았지만, ‘기시감이 느껴질 것 같다’는 우려도 없지 않았다. 그러나 최우식은 ‘멜로무비’의 ‘장점’만 보고 과감하게 선택했다.
“일단 제가 좋아하는 글이었다. 이나은 작가님과 함께한 작업이 좋았지만, 그렇다고 작가님이라 바로 하겠다고 한 건 아니었다. 일단 제가 좋아하는 내용의 작품이었다. 작가님과 연달아 작업하는 것이 부담되지 않는 것은 아니지만 글이 너무 따뜻했다. 화려하진 않지만, 사람 이야기가 녹아있다. 사람과 사람의 관계만 봐도 너무 재밌었다. 좀 욕심을 내서 하겠다고 했다.”
‘그해 우리는’과 ‘다른’ 작품, 캐릭터를 선보일 수 있다는 자신감도 있었다. ‘그해 우리는’의 최웅은 어리숙하지만 사랑에 최선을 다하는 ‘귀여움’에 방점이 찍힌 인물이었다면, 고겸은 김무비(박보영 분)를 향해 ‘직진’하는 과감한 매력이 있었던 것. 최우식은 고겸의 이 같은 매력을 잘 전달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톤을 조절해 나갔다.
“(고겸을 통해) 그간 보여줬던 모습과는 다른 면을 부각해서 보여줄 수 있을 것 같았다. 최웅에겐 눈치 보고 내향적인 이미지가 있었다면, 고겸에겐 직진하는 면이 있었다. 자꾸 호기심이 가는 인물로 그려보고 싶었다. 워낙 방방 떠 있는 인물이라 조금만 진지하게 해도 극과 극으로 보일 것 같았다. 그래서 일을 할 때는 일부러 더 매섭게 하기보단 조금 진지하게만 임해야 현실감이 있을 것 같았다.”
두 편 연속 로맨스 드라마를 소화하면서 ‘멜로’에 대한 욕심이 더 생겨났다. 욕심내서 작품에 임한 만큼, 관련 평도 찾아보지 못할 만큼 부담도 컸다. “더 쉽게 공감할 수 있고, 배우의 시선을 더 따라갈 수 있는 장르라고 생각한다”고 멜로의 장점을 언급한 최우식은 “불러줄 때까지 계속하고 싶다”고 멜로에 대한 애정을 표했다.
“제대로 된 로맨스는‘그해 우리는’이 처음이었던 것 같다. ‘호구의 사랑’도 있었지만 당시 데뷔 초라 너무 어렸을 때 한 것 같다. 멜로 장르에 대한 경험이 다른 장르에 비해선 없는 편인 것 같다. 그래서 제가 어떻게 해야 관객들이 좋아할지 잘 몰랐고, 지금도 그런 것 같다. 그래서 더 욕심이 났다. ‘그해 우리는’은 시청률이 많이 나온 작품은 아니지만 좋아해 주신 분들은 많이 좋아해 주셨다. 이번엔 좀 더 다수를 만나고 싶은 욕심도 있었다.”
‘아쉬움’이 있지만, 채워나가고 싶다는 바람도 드러냈다. 새로운 작품, 캐릭터를 만나 경험치를 쌓다 보면 성장할 수 있을 것이라고 믿었다. 더 오래 연기를 하기 위해 최우식은 고민을 거듭 중이다.
“앞으로 더 해 나아가야 할 게 많다. 부족한 것도 많다. 그럼에도 전보단 자신감이 좀 생긴 것 같다. 작품을 끝날 때마다 그렇게 되는 것 같아 다행이다. 물론 지금도 ‘기생충’을 보면 ‘저 땐 왜 저렇게 했을까’ 이런 생각이 드는 부분이 많다. 영화 끝나고 크레디트가 다 올라갈 때까지 계속 ‘조금만 더 잘할걸’, ‘저 장면에서 조금만 더 어떻게 해볼걸’ 이런 생각으로 자리를 뜨지 못했었다. 욕심이 많으면 잘할 것도 못 하게 되는 것 같은데 왜 요즘 자꾸 욕심이 생기는지 모르겠다. 좀 내려둬야 할 것 같다. 어떻게 하면 이 일을 즐겁게, 행복하게 할 수 있을지 배워가야 할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