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 "강행 통과시킬 수 있다" 보도도 "사실"
"1% 차이 정도면 野 단독 처리할 수 있어"
"국민의힘, 안 하려고 하면서 겉으로만 척"
진성준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의장이 국민연금 개혁 문제와 관련 "소득대체율은 적어도 44∼45% 수준으로 결정돼야 한다"며, 2월 국회 내 단독 처리도 고려하고 있다는 뜻을 시사했다.
진성준 정책위의장은 24일 오전 MBC라디오 '시선집중'에 나와 "민주당은 45%가 돼야 한다는 입장에서 여야가 막판까지 의견을 좁히지 못해 44%로 타결하자는 입장이었다"며 이같이 밝혔다.
앞서 이재명 민주당 대표와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겸 경제부총리, 우원식 국회의장,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지난 20일 여·야·정 국정협의회 비공개회의에서 국민연금 개혁 문제 등을 논의했다.
여야 모두 연금개혁에서 보험료율을 13%로 올리는 데는 동의했지만, 자동조정장치 도입을 전제로 한 소득대체율 조정에 국민의힘은 43%를, 민주당은 44%를 각각 주장하고 있다.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전날 기자들과 만나 소득대체율 유연성이 43%까지 가능하다는 것인지를 묻는 질문에 "그렇다. 42%, 43% 정도"라며 "44%는 좀 그렇다"고 답한 바 있다.
이와 관련 진 정책위의장은 "소득대체율 1%p 차이로 도무지 진전이 안 되고 있다"며 "그 정도 차이라면 (민주당이) 단독으로 처리할 수도 있는 것 아닌가 생각한다"고 했다. 이어 "오래 끌어온 문제인 만큼 이 사안에 종지부를 찍을 때가 됐다"며 "2월 국회 중에 처리하는 게 좋겠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 대표가 '연금개혁안 합의가 안 되면 강행 통과시킬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는 보도에 대해서도 "사실"이라고 덧붙였다. 오는 27일 본회의에 야당이 연금개혁안을 상정해 단독 처리할 가능성을 시사한 셈이다.
이 대표는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도 "국정협의회에서 민주당은 전향적 입장으로 연금개혁 타결해보려 했는데 국민의힘이 또 고집을 부려 합의가 못 됐다"며 "분명히 국민의힘이 작년에 소득대체율 44%를 얘기했는데,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이 갑자기 42%를 들고 나왔다. (연금개혁안을) 하지 말자는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이런 식으로 정치하면 되느냐. 야당도 아니고 집권여당"이라며 "연금개혁 안 하려고 하면서 겉으로만 하는 척한다"고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