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산불 피해 복구 대책 긴급현안질문서
고성능 진화차 추가 및 임도 설치 필요성 강조
대형 산불 피해를 입은 경남 산청군을 지역구로 둔 신성범 국민의힘 의원이 "산불 대응체계를 좀 더 현실에 맞게 고칠 필요가 있다"며 헬기 추가 도입과 산불 대응을 위한 전문인력 양성 등을 촉구했다.
신성범 의원(국회 정보위원장·경남 산청함양거창합천)은 3일 오후 국회에서 영남지역 산불 피해 복구 대책과 추가경정예산안 추진 방안 등과 관련한 긴급현안질문에 나서 임상섭 산림청장에게 "산불이 복합재난이 되면서 군과 경찰, 소방, 지자체 공무원, 자원봉사단체까지 총동원되는 등 대처도 복잡해지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신 의원은 "산불을 끄는 건 헬리콥터 없이는 안 된다. 그런데 대형 산불이 발생할 때마다 우리나라 산림청·소방청 산불 진화 헬기가 부족하단 지적이 나온다"고 말했다.
이어 "산림청 보유 헬기는 담수 용량이 1000~5000리터 미만인 헬기가 32대이고, 11대는 1000리터 미만의 소형, 5000리터 이상을 담수할 수 있는 헬기는 7대에 불과하지 않느냐"며 "보유 헬기도 29대 중 8대가 부품 수급이 되지 않아 멈춰있고, 기령이 20년을 초과한 헬기는 66%인 33대, 그마저도 3분의 1인 12대는 30년 이상된 노후 기종"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미국은 산불진화에 헬기 뿐 아니라 에어탱커(VLAT)로 불리는 항공기도 투입한다. 3만 리터의 내화제를 탑재한 후 산불 현장에 뿌려 산불이 민가로 번지지 않도록 한다"며 "산불이 대형화되고 있기 때문에 헬기 추가 도입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신 의원은 "헬기 물 투하 후 현장 잔불 제거에 투입되는 것은 공중진화대원과 민간인 산불재난특수진화대다. 핵심인력인 공중진화대원은 군특수부대 출신들과 임업 일반 업무 종사자들로 구성돼 있다"며 "현장을 잘 아는 인력이 본부에서 가교 역할을 해야 현장의 어려움이 신속하게 전달되고 필요한 지원이 가능하지 않겠느냐. 현장에서는 인명구조 훈련을 위한 시뮬레이션 센터 같은 시설이 필요하다고 한다. 이를 적극 검토해주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아울러 신 의원은 △특수진화대 장비, 고성능·다목적 진화차 추가 도입 △대형산불 발생시 진화장비나 인력의 신속한 투입 위한 임도 설치 △국립산불방지센터 남부권 설치 등을 촉구했다.
신 의원은 "산림에 대한 인식을 바꾸고 초대형 산불 재난에 대한 국가적 차원의 대응역량을 길러야 한다"며 "국회에서도 조속한 제도 정비와 확실한 예산 확보를 위해 최선을 다해야 한다"고 힘줘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