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무총리실 대테러센터 실무위에서 테러 대응태세 유지키로
정부가 김정남 암살에 사용된 것으로 알려진 ‘VX 가스’ 등 26종의 화학작용제 탐지 장비 추가 배치를 추진하고 있다고 3일 밝혔다.
정부는 이날 오전 정부서울청사 별관에서 군·경·소방 및 외교부, 법무부, 국정원 등 12개 대테러 관계기관 합동으로 국무총리실 대테러센터 ‘테러대책 실무위원회’를 열었다.
이번 회의에서 ‘국민보호와 공공안전을 위한 테러방지법’ 시행 1주년에 맞춰 올해 추진 중인 대테러 업무와 관련된 당면 현안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
정부는 북한의 연이은 미사일 도발 및 김정남 암살 사건 등으로 안보불안이 여전한 가운데, 분야별 대테러 관계기관 각자가 더욱 무거운 책임감을 가지고 테러 예방 및 대응태세를 유지하기로 했다.
또 북한의 김정남 암살 사건을 계기로 독극물테러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음에 따라, 관계부처를 중심으로 위험물질 관리능력을 제고하는 등 대응역량을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특히 환경부는 관계부처와 민간전문가 합동으로 설치한 화학테러 대응역량 개선 TF를 통해, 김정남 암살에 사용된 것으로 지목된 ‘VX 가스’를 포함한 26종의 화학작용제를 탐지할 수 있는 첨단장비를 추가 배치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정부는 이번 회의에서 관계기관 간 협력을 통한 테러 예방·대응 추진 사례로서 법무부의 ‘항공기 탑승자 사전확인 제도’ 및 국민안전처의 ‘긴급재난문자방송’ 활용 추진 현황을 공유했다.
더불어 외교부에서 추진 중인 ‘폭력적 극단주의’ 예방을 위한 국가행동계획 마련 등 국제적 대테러 추세에 발맞춘 범정부적 노력도 계속해 나가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