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정에너지 분야 공적금융 지원 9200만 달러에 불과
"화석연료 금융지원 중단, 청정에너지 전환 필요"
한국의 화석연료 공적지원 규모가 연간 89억달러로 G20국가 중 3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013년부터 2015년까지 화석연료에 대한 공적금융 연평균 지원액은 일본 165억 달러, 중국 135억 달러, 미국 60달러 등이었다.
5일 오일체인지인터내셔널, 지구의 벗, 시에라클럽, 세계자연기금 등 국제환경단체가 공동으로 발표한 보고서 'G20 국가의 화석연료 공적금융 지원 현황'에 따르면 한국은 연평균 89억 달러의 공적금융을 화석연료 사업에 지원하는 반면 청정에너지 분야에 대한 공적금융 지원은 9200만 달러 수준에 불과했다.
또한 한국의 화석연료 탐사 사업에 대한 공적금융 지원액은 연간 16억 달러로 G20 국가 중에서 두 번째로 높았다.
2013~2015년 화석연료에 대한 공적금융 지원 상위 10대 수출신용기관에 한국수출입은행과 한국무역보험공사는 각각 2위와 7위로 이름을 올렸다.
보고서는 G20 국가들이 기후변화 대응 약속에도 불구하고 화석연료 분야에 대해 과도한 공적금융을 지원해왔다고 지적했다.
G20 국가의 에너지 부문에 대한 공적금융에서 청정에너지 분야는 15% 수준에 불과한 반면, 화석연료 분야는 58%를 차지했다.
이에 알렉스 두카스 오일체인지인터내셔널의 선임 캠페이너는 "청정에너지 분야에 대한 G20 국가들의 투자 수준은 매우 저조하다"며 "각국이 파리협정에서 공약한 기후변화 대응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화석연료에 대한 금융지원을 중단하고 청정에너지로의 대대적 전환이 요구된다"고 주장했다.
이지언 환경운동연합 에너지기후 팀장은 "한국은 화석연료 분야에 대해 막대한 공적금융을 지원했는데 이는 한국의 경제 규모에 비해 과도할 뿐만 아니라 에너지 안보를 향상시키지도 못 했다"며 "재생에너지와 에너지효율화 산업이야말로 우리가 집중적으로 공적재원을 쏟아 부어야 할 분야이며 화석연료 산업계에 대한 금융지원을 시급히 줄여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