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역사교사, 세계로 나가 독도 영유권을 외치다


입력 2017.08.03 15:44 수정 2017.08.03 15:44        이선민 기자

교육과정연계 역사현장답사단 운영을 통한 역사수업 개선

모스타르답사단(크루아티아드부르브니크). ⓒ교육부

교육과정연계 역사현장답사단 운영을 통한 역사수업 개선

교육부와 대전교육청은 7월 21일부터 8월 14일까지 역사 담당 교원을 대상으로 ‘교육과정연계 역사현장답사단’ 을 운영한다.

지난해에 이어 올해 2회 차인 역사현장답사단은 국내·외 역사 유적지 현장 답사를 통해 유물·유적의 역사적 의미를 생생하게 학습하고, 직접 수집한 교육 자료를 활용하여 현장감 있는 역사 수업을 구현하기 위해 시행하고 있다.

이는 세계사 속에서 한국사를 이해해야 한다는 세계사 교육의 강화와 최신의 참신한 역사자료가 필요하다는 학교 현장의 요구에 따른 것이다.

역사현장답사단은 역사교육을 담당하는 초·중등 교원을 대상으로 각 시·도교육청의 추천을 받아 국내 50팀(243명), 국외 47팀(226명), 총 97팀(469명)을 선발하여 운영한다.

국내 현장 답사지로는 한국사 교육과정과 연계해 지난해 근대 이전 중심의 15코스에서 안동, 임진각을 추가하는 등 근현대사 분야를 강화하여 총 20코스를 선정했으며, 일제 식민지배하에서 독립운동 및 6·25 전쟁 관련 유적지를 답사함으로써 우리나라를 지키기 위한 애국선열들의 삶과 정신을 체험할 수 있도록 했다.

국외 현장 답사지로는 지난해 한국사 중심의 10코스에서 동아시아사 및 세계사 교육과정과 연계된 미국, 발칸 반도 등을 추가하여 21개국, 총 15코스를 선정했다. 현장 답사를 통해 역사적 현장을 직접 눈으로 보고, 세계 민족의 다양한 삶의 모습을 통해 세계사 속에서 우리의 역사를 이해할 수 있도록 준비했다.

앙코르답사단(캄보디아프놈펜). ⓒ교육부

한편, 올해 국외 현장답사단은 역사교육 관련 자료 수집에 중점을 둔 작년 사업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팀 별로 현지의 한국 학교 등을 방문하고, 한국의 역사와 문화를 홍보하는 등 ‘한국바로알리기’를 실시한다.

발칸 반도를 답사하는 모스타르 답사단은 지난 4월부터 독도 스티커 및 부채를 자체 제작하여 기념품으로 제공하는 홍보 행사를 준비하고 있다.

모스타르답사단의 팀장 신현아 교사(경기 성남 백현중)는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등 발칸 반도의 한복판에서 독도가 명백히 우리 땅이라는 사실을 전 세계에 알리겠다”라는 포부를 밝혔다.

원친답사단의 인솔자 오석진 장학관(대전교육청)은 “이곳 사라예보에서는 1984년 동계올림픽이 개최되었기에 평창올림픽에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열심히 평창올림픽 개최를 홍보하여 세계 평화와 화합의 장이 평창올림픽을 통해 마련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며 현지의 상황을 전했다.

김상곤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이번 역사현장답사단의 활동을 통해 수집한 다양한 역사 수업 자료를 활용하여 현장감 있는 학생참여의 역사수업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이어 “현장 답사에 참여한 선생님들을 전국의 역사교원 수업 개선을 위한 우수 인력으로 활용하여 생생한 경험이 학교 현장에 최대한 확산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며, 역사교원의 수업역량을 강화시킬 수 있도록 역사교원 역량강화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선민 기자 (yeatsmin@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이선민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