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개편] 문·이과 벽 못 넘었다 ‘반쪽 통합’
교육부‘2021학년도 수능 개편 시안’발표
교육 당국이 ‘2021학년도 수능 개편 시안’을 발표한 가운데 문·이과의 벽을 넘겠다는 시도는 있었으나, 사실상 현행체제 유지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
‘문이과 통합 교육과정’이란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도입된 것으로 모든 학생이 인문사회와 과학기술 분야의 기초 소양을 함양할 수 있도록 ‘통합사회’와 ‘통합과학’을 신설한 것이다.
박춘란 교육부 차관은 10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융·복합 인재 양성, 학습 부담 완화 등을 목표로 하는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개편 시안을 공개하고 “문·이과 구분 없이 인문사회·과학기술 기초 소양을 지닌 융·복합 인재를 길러내고자 하는 교육과정 개편 취지를 대입 수능에 반영했다”고 밝혔다.
개편 시안에 따르면 현 중3이 치를 2021학년도 대입부터는 ‘통합사회·통합과학’이 신설된다. 현행 수능에서는 문과학생은 사회영역 9개 중 2과목, 이과학생은 과학영역 8개 중 2과목을 선택해 시험을 치고 있다. 개편 후에는 통합사회·통합과학을 필수 과목으로 시험치면서 문과·이과 탐구과목 중 1과목만 선택해 시험친다.
입시 전문기관 종로학원하늘교육은 “문·이과 통합의 시도로 극심한 이과 쏠림현상은 일부 해소할 수 있겠지만, 사실상 문·이과 현행 체제를 유지하는 방식”이라며 “신설된 통합사회·통합과학의 난이도가 수험생 부담 여부에 큰 변수가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교육당국이 문·이과의 통합을 내세웠을 때 학부모와 학생들은 수학과 과학탐구에 부담을 느낀 문과학생들도 대학에서 이과 계열에 지원을 할 수 있고, 외고·국제고에서도 의대에 지원할 수 있는 정책이 나오기를 바랐다. 아울러 이과학생들 중 수학부담을 느끼는 학생들에 대한 부담감 완화에 대한 기대도 컸다.
하지만 개편 시안에서 제시한 방안에서 수학 가·나형을 유지하고 있으며 탐구영역에서 선택할 수 있는 과목 또한 기존의 문·이과 체제를 계승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대학에서 수학, 과학 탐구에서 어떤 영역을 특정하느냐에 따라 문, 이과 체제는 사실상 유지되는 셈이다.
종로학원은 “고1과정에서 출제되는 통합사회·통합과학은 수험생에게 새로운 부담이 된다. 현 중3의 조기학습 분위기가 일어날 수 있다”며 “통합사회·통합과학의 교재수준이 어떠냐가 수험생 부담의 최대관건”이라고 분석했다.
아울러 “통합과목은 고1 때 수업이 종료되는데, 수능 시험은 고3 때 봄으로써 시차 발생이 크다”며 “사교육 시장의 확대와 일부 학교에서의 비정상적인 수업 운영 발생 가능성을 경계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