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당, 정당지지율 '최하위'…정의당에도 밀려
국민의당이 5개 정당 지지율 중 최하위를 기록했다. 최근 바른정당과의 통합논의에 따른 당내 갈등과 시도당·지역위원장 사퇴 문제로 내홍을 겪으면서 하락한 것으로 풀이된다. 27일 여론조사 전문기관 한국갤럽이 지난 24~26일 전국 성인 1006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에 따르면 각 정당 지지율은 더불어민주당 45%, 자유한국당 10%, 바른정당 8%, 정의당 7%, 국민의당 6%로 조사됐다. 지지하는 정당이 없다거나 의견을 유보한 비율은 24%였다. 더불어민주당은(45%) 지난주보다 3%포인트 하락했지만 여전히 1위를 지켰고, 자유한국당(10%)은 2%포인트 감소해 2위, 바른정당(8%)은 2%포인트 상승하면서 3위를 기록했다.국민의당(6%)은 지난주보다 1%포인트 하락하며 정당지지율이 2%포인트 상승한 정의당(7%)에도 뒤쳐지며 5위로 주저 앉았다.
▲"케네디 암살범, 범행 두달전 소련 KGB와 접촉"
미국의 35대 존 F 케네디 대통령의 암살범 리 하비 오즈월드가 범행 2개월쯤 전 옛 소련의 정보기관인 KGB와 접촉한 것으로 밝혀졌다. 그동안 온갖 음모설이 나돌던 케네디 전 대통령의 죽음과 오즈월드의 범행동기 및 행적과 관련해 KGB와의 연결고리가 드러난 것은 54년 만에 처음이다. 미국 국가기록보관소가 26일(현지시간) 공개한 문서에 따르면 오즈월드는 범행 2개월여 전인 1963년 9월 28일 멕시코 주재 구소련 대사관에 전화를 걸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오즈월드는 구 소련 첩보기관인 KGB의 요원인 발레리 블라디미로비치 코스티코프 영사와 러시아어로 대화했으며, 미 중앙정보국(CIA)이 대화 내용을 도청했다. 특히 CIA는 암살 이후 오즈월드에 대한 살해계획 첩보도 입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미국 정부는 이날 문서 2800여건을 공개했지만, 일부 문서는 공개 대상에서 빠져 의혹은 더욱 증폭되고 있다. 국가안보 우려 등을 이유로 기밀을 해제하지 말아 달라는 CIA·FBI 및 다른 연방기관들의 건의를 트럼프 대통령이 받아들여 수백건의 다른 문서들은 공개가 보류됐다.
▲국감 보이콧 들어간 한국당, '지도부' vs '친박' 갈등 조짐
자유한국당이 남은 국정감사를 전면 보이콧 하기로 합의한 가운데 전날 이를 결정한 긴급 의원총회에서는 당 지도부에 대한 친박계의 불만이 터져나왔다. 90여명의 한국당 의원들이 총회에 참석, 이 가운데 15명 가량 의원들이 개인 발언에 나섰고 이 중 4~5명의 의원이 박 전 대통령을 비롯한 서청원·최경환 의원에 대한 징계를 거론하며 불만을 드러냈다. 이날 의원총회 자리가 '문재인 정부의 방송장악 대응'과 관련한 보이콧 결정을 위한 것인만큼 박 전 대통령 탈당 문제가 크게 거론 되지는 않은 상황이다. 하지만 갈등의 불씨가 확산될 조짐이다.국정감사 일정으로 해외에 있던 서 의원이 26일 오후 귀국하면서 홍준표 대표와 계파 갈등의 새로운 국면을 맞이할 것이라는 관측이다.
▲검찰, '국정원 수사방해' 피의자 현직 검찰간부 줄소환
검찰이 2013년 ‘국가정보원 대선개입’ 수사를 국정원으로 파견 나간 현직 검사들이 방해했다는 의혹과 관련해 수사에 속도를 내고 있다. 서울중앙지검 국정원 수사팀은 현직 검사장인 장호중 부산지검장(50·사법연수원 21기)을 29일 오후 3시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해 조사한다고 27일 밝혔다. 장 지검장은 2013년 당시 국정원 감찰실장으로 근무했다. 검찰이 검사장급 이상 현직 검사를 소환해 조사하는 것은 지난해 7월 넥슨에서 각종 특혜를 받은 혐의가 있던 진경준 전 검사장 이후 1년 3개월 만이다. 검찰은 이날 국정원 사건 수사개입 행위와 관련해 장 지검장과 변창훈(48·23기) 서울고검 검사, 이제영(43·30기) 의정부지검 형사5부장 등 현직 검찰 간부들의 사무실과 자택을 대상으로 압수수색을 벌였다.
▲신고리 5·6호기 공사 재개…피해 보상 갈등 '촉각'
신고리 5·6호기 건설 공사가 재개된 가운데, 앞서 일시 중단으로 피해를 본 공사 협력업체에 대한 보상 문제가 주목된다. 보상 주체인 한국수력원자력이 추산한 보상 비용과 보상 대상인 협력사 등이 요구하는 보상액이 차이를 보일 경우 갈등이 빚어질 공산이 크다. 한수원은 그간 공사 중단에 따른 협력사 손실보상 비용으로 약 1000억 원을 추산하고 있지만, 현장 건설 업체 측은 유지보수 비용 등을 더하면 금액이 더 커질 것으로 보고 있다. 한수원은 오는 31일 보상항목에 대한 계약적·법률적 적정성을 검토하고, 내달 15일 계약별 보상기준 수립 및 협상을 거쳐 내달 30일 보상을 마무리할 방침이다. 이 가운데 그간 유지관리에 따른 비용 외에도 신고리 재개 결정 이후 유지보수 설비 등을 해체하는 작업 등에서 또 다른 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게 업체 관계자들의 설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