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규제 ‘반사이익’, 수익형부동산 거래량 증가세
상가 낙찰가율 70.8% 기록…“시중 유동자금, 수익형부동산으로 향해”
정부의 아파트 규제가 강화된 만큼 수익형부동산이 반사이익을 얻을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주택시장에 대한 규제가 발표될 때마다 수익형부동산 거래량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부동산경기 선행지표인 경매시장에서 올해 9월까지 상가의 평균 낙찰가율(감정가 대비 낙찰가 비율)은 70.8%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9월(52.7%) 대비 18.1%포인트나 상승했다.
또 지난 수년 동안 상가의 평균 낙찰가율이 50%대에 그쳤던 것을 감안하면 상당히 높은 수치다. 앞서 8월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공급한 13개 점포도 모두 예정가보다 높은 142.7%의 낙찰가율로 모두 팔렸다.
부동산114 조사결과, 서울 지식산업센터도 올 2분기 평균 3.3㎡당 828만원으로 이전 분기(790만원) 대비 4.7% 상승했다. 임대료도 같은 기간과 비교해 3.5% 오른 3.73만원으로 집계됐다.
수익률이 다소 떨어진 것으로 알려진 오피스텔의 경우도 소형 오피스텔을 중심으로 5%대의 높은 수익률을 유지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대형건설사가 분양하는 오피스텔이 인기다. 지난 22~23일 대우건설이 분양한 ‘화서역 파크 푸르지오 오피스텔’은 최고 278대 1, 평균 65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전문가들은 “정부의 잇따른 주택시장 규제로 아파트 투자 심리가 위축되면서 시중의 유동자금이 수익형부동산으로 향하는 중”이라며 “수익형부동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알짜 수익형 상품을 골라내는 선구안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동문건설은 경기도 평택 신촌지구 ‘평택 지제역 동문굿모닝힐 맘시티’의 중심상업시설인 ‘맘스 스퀘어’를 이달 분양할 예정이다. 연면적 2만942㎡ 규모로, 지하 1층~지상 5층 4개 동 총 214개 점포로 구성된다. 저층 중심의 스트리트형으로 층별 MD 계획은 1층과 2층에는 생활 밀착형 및 트렌드에 맞는 업종이, 3층은 병원과 헬스&뷰티 시설 중심, 4~5층은 초, 중, 고교 전문 학원 중심으로 구성했다.
김포시와 김포골드밸리PFV는 경기도 김포시 양촌읍 김포 학운3산업단지 내 마지막 복합용지를 분양 중이다. 부지의 50%를 제조업으로 활용하고, 나머지 부지는 지원시설, 주거, 오피스 등의 시설로 활용하거나 임대도 가능한 만능 부지이다. 교통 호재도 예정돼 있다. 김포도시철도가 개통 예정으로, 김포공항역 환승을 통해 인천공항, 여의도, 디지털미디어시티(DMC), 마곡, 광화문은 물론 강남 접근성까지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서영개발은 경기도 부천 옥길지구 자족용지 3-2, 3-3블록에서 지식산업센터와 상업시설로 구성된 ‘서영아너시티2’를 11월 초 분양한다. 지식산업센터 305실, 상업시설 108실 등으로 조성될 예정이다. 먼저 지식산업센터는 대형 호텔식 로비, 접견실, 멀티회의실, 세미나실, 옥상정원, 층별 옥외 휴게공간 등 다양한 커뮤니티 시설로 입주 기업의 업무효율을 극대화할 계획이다. 상업시설은 이탈리아 시에나의 감성을 더한 유러피안 대로변 스트리트몰로 차별화에 나선다. 2개의 길을 넣어 사각지대를 없앤 약 90m의 스트리트형 구조로 설계돼 유동인구 흡수에 용이하다.
SK건설도 인천시 서구 가정동 477-7 일원, 루원시티 주상 1, 2블록에 ‘루원시티 SK 리더스 뷰’ 근린생활시설을 10월 분양한다. 루원시티 내 첫 분양 단지에 들어서는 대규모 근린생활시설로 아파트 2378와 오피스텔 726실 등 총 3104가구를 고정수요로 확보했다. 또 루원시티에 9500여가구의 미니신도시가 들어설 예정으로 두터운 배후수요가 예상된다. 인천 지하철 2호선 가정역과 도보 5분 거리에 위치해 있으며, 향후 7호선 루원시티역(가칭)이 개통되면 더블 역세권을 누릴 수 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