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나, 채권단 관리 하에 기업가치 제고…관련 컨설팅 진행"
계열사 금호고속도 특별약정 통해 관리…"고통분담 통해 정상화"
채권단이 매각이 무산된 아시아나항공에 대한 플랜B로 경영정상화를 진행한 후 재매각을 추진한다. 정부는 이 과정에서 2조4000억원 규모의 기간산업안정기금을 투입하기로 했다.
최대현 산업은행 기업금융부문 부행장은 11일 오후 온라인 기자간담회를 통해 아시아나항공 매각이 무산됐음을 공식 발표했다. 지난해 12월 금호산업과 HDC현대산업개발이 아시아나항공 주식매매계약(SPA)을 체결한 후 9개월 여만에 노딜로 마무리된 것이다.
최 부행장은 "채권단은 M&A 무산 이후 아시아나 정상화 계획을 지원하게 된다"며 "기안기금도 2조4000억원을 신규로 지원한다"고 말했다. 채권단이 보유한 영구채를 주식으로 전환하면 아시아나는 채권단 관리에 놓이게 된다.
일단 이번 기안기금 투입을 통해 유동성에 급한 불이 꺼지면서 당장 아시아나의 신용등급 하락은 없을 것으로 관측된다. 최 부행장은 "딜 브레이크로 인한 아시아나 신용등급 하락이 가장 우려되는 부분"이라면서도 "기안기금의 유동성과 자본확충을 통해 기업가치를 제고하겠다"고 말했다.
또한 기업가치 제고를 위한 컨설팅을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최 부행장은 "(경영정상화 이후) 여건이 된다면 책임과 능력있는 경영주체 재매각을 추진할 것"이라며 "만약 코로나19가 예상밖으로 장기화될 경우 정부와 협의를 통해 근본적인 방안을 마련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아시아나는 채권단 관리 하에서 노선 조정, 비용 절감, 조직개편 등을 통해 기업가치 제고에 나서게 될 예정이다. 다만 당장의 인력 구조조정에 대해서는 선을 그었다. 최 부행장은 "아시아나는 이미 올 초부터 임직원 순환휴직과 급여 삭감 등 자구 노력을 이행하고 있다"며 "기안기금이 지원되기 때문에 현재 운항 상태, 임금 반납 등을 보면 당장 인력 구조조정은 급한 것이 아니다"라고 밝혔다.
최 부행장은 기존 주주의 감자 여부에 대해 "현 단계에서 언급하기 부적절하다"고 말을 아꼈다. 다만 그는 "컨설팅 시 매각방안가치를 전부 검토할 예정이며, 에어서울과 에어부산, 골프장 등 리조트 매각에 대한 부분도 필요하다면 컨설팅 범주에 넣을 것"이라고 답변했다.
금호고속도 특별약정을 통해 채권단 관리에 놓이게 된다. 최 부행장은 "금호고속 실사 결과 이달 말까지 1100억원, 올 연말까지 4000억원의 자금이 부족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며 "아시아나의 원활한 경영정상화를 위해서는 금호고속의 코로나 피해 등도 종합적으로 감안해야 하는 만큼 이해관계자의 철저한 고통분담을 통해 정상화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금호산업에 대해서는 "자체적으로 유동성 창출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며 "주채권은행인 우리은행과 협의를 거쳐 추후 방향을 정하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