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1년째 출구 안 보이는 의정갈등…이제는 대화로 끝내야 [기자수첩-정책경제]


입력 2025.02.12 07:00 수정 2025.02.12 07:00        박진석 기자 (realstone@dailian.co.kr)

서울 시내 한 대학병원 전공의 전용 공간에서 의료진이 이동하고 있다. ⓒ뉴시스

지난해 정부가 의대증원을 발표한 이후 1년이 흘렀다. 그간 정부는 의료계와 화해를 위해 나름대로 다양한 유화책을 펼쳤으나 의료계는 초지일관 요지부동으로 여전히 의정갈등 해결의 실마리를 찾지 못하고 있다.


1년이라는 시간 동안 정부와 의료계는 서로의 입장 차이만 확인한 채 평행선을 달려왔다 의료계는 정부의 의대증원 정책에 대해 여전히 강하게 반발한다. 전공의들은 복귀하지 않고 있다.


이러한 갈등이 장기화하면서 가장 큰 피해를 보는 것은 환자와 국민이다. 의료 현장의 혼란은 진료 차질, 응급 환자 이송 지연, 수술 취소 등으로 이어져 국민 건강과 안전을 위협하고 있다. 또 의료계의 파업과 정부의 강경 대응은 의료 시스템에 대한 국민 신뢰를 떨어뜨리고 사회적 불안감을 증폭시키고 있다.


앞서 정부 의대증원 규모를 조정하고 의료계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끊임없이 대화를 시도했다. 전공의들의 복귀를 위해 입영 특례라는 파격적인 제안까지 내놓았다. 하지만 의료계는 정부의 이러한 노력에 대해 여전히 냉담한 반응을 보이는 모습이다.


이제는 의료계가 대승적인 차원에서 문제 해결에 나서야 한다. 정부의 양보와 노력에 대해 책임감을 가지고 화답해야 한다. 의대증원과 관련한 합리적인 대안을 제시하고 정부와의 대화에 적극적으로 참여해 책임감 있는 자세로 문제 해결에 협력해야 한다.


정부는 의료계의 우려에 대해 귀 기울이고 합리적인 대안을 모색해야 한다. 의대증원뿐만 아니라 의료 시스템 전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논의 역시 시작해야 한다.


의정갈등을 해결하기 위한 첫걸음은 서로에 대한 불신을 해소하고 진솔한 대화를 시작하는 것이다. 정부와 의료계가 이제는 서로의 입장을 이해하고 공통의 목표를 향해 나아가야 한다.


환자의 생명을 지키는 것이 의사의 사명이다. 의료계의 어려움을 이해하지 못하는 것은 아니지만 대화와 타협을 통해 문제 해결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할 때다.


정부 역시 의료 현장의 목소리에 진정으로 귀 기울이고 의료계와 머리를 맞대 현실적인 해결책을 찾아야 한다. 지금처럼 엇갈린 주장만 반복하며 시간을 낭비한다면 그 피해는 고스란히 국민에게 돌아가게 된다.


의정갈등 해결은 결코 쉬운 과제가 아니다. 다만 서로에 대한 신뢰와 이해를 바탕으로 끊임없이 노력한다면 충분히 해결할 수 있다. 정부와 의료계는 국민 건강과 안전을 위해 대화와 타협을 통해 현명한 해결책을 찾아야 할 것이다.

'기자수첩-정책경제'를 네이버에서 지금 바로 구독해보세요!
박진석 기자 (realstone@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