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국민의힘 '당원 50%·국민 50%' 경선룰 변경 가능성은 [정국 기상대]


입력 2025.04.07 06:30 수정 2025.04.07 10:44        김민석 기자 (kms101@dailian.co.kr)

권영세·권성동 투톱, 7일 '대선 선관위' 구성

현 경선룰 '윤심 과다·중도 약세' 한계 지적

21년 재보선 전략 '일반여론 100%' 주장도

후보 간 유불리 갈려 '변경' 가능성은 '글쎄'

조기 대선을 이끌게 된 국민의힘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오른쪽)과 권성동 원내대표(왼쪽) ⓒ데일리안 홍금표 기자

국민의힘이 두 달 안으로 치러질 대선에 맞춰 당을 '조기 대선 체제'로의 전환할 것을 예고하면서, 대선 후보를 결정하게 될 '경선룰'에도 변화가 있을지 여부가 주목을 받고 있다. 현재 당헌에 명시된 '당원 투표 50%, 일반 국민 여론조사 50%'를 유지하느냐, 이 비율을 조정하느냐가 핵심이다.


당 안팎에선 이번 대선에서 중도층 표심이 가장 중요할 것으로 보고, 경선룰에서 일반 국민 비중을 늘려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하지만 현행 경선룰에서 더 유리한 경쟁 구도를 그리는 후보가 있는 만큼, 짧은 대선 기간 속에 급격한 경선룰의 변경은 쉽지 않을 것이란 관측도 만만치 않다.


국민의힘은 7일 열릴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대선 후보 경선을 위한 당 선거관리위원회 구성안을 추인한다. 선관위 구성은 이날 의원총회에서 박수로 재신임을 받은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과 권영세 원내대표 등 현 지도부에서 담당한다.


두 달도 채 남지 않은 대선 레이스의 출발점으로 평가 받는 '경선룰'은 새로 꾸려질 선관위에서 본격 논의될 전망이다. 현재 국민의힘은 당헌 제5장 제69조 2항에 따라 대통령 후보자 당선자를 '대통령 선거인단(당원) 유효투표결과' 50%와 '여론(일반 국민)조사 결과 50%'를 반영해 산정한 최종집계결과 최종득표자로 선출하게 돼 있다.


현행 경선룰에 제기되는 문제점은 크게 두 가지다. 첫번째는 표면적으론 당원과 일반 국민의 의중이 50%로 동일하게 적용되지만, 파면된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애도' 심리가 강한 당원 표심의 영향력이 더 센 구조라는 점이다. 가령 윤 전 대통령이 메시지를 내서 특정 후보에 유리한 발언을 꺼낸다면 당심이 조직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이 같은 당심의 조직화는 지난 2021년 치러진 20대 대선 후보 경선 결과에서 찾아볼 수 있다.


당시 윤석열 후보는 일반 국민 조사에서 13만7929표(37.94%)를 획득해 당시 홍준표 후보의 17만5267표(48.21%)보다 3만7338표(10.27%p) 뒤졌다. 하지만 당원 투표에서 21만34표로 57.77%를 얻어 홍 후보(12만6519표·34.80%)를 8만3515표(22.97%p)차로 제쳐냈다. 압도적인 당원 지지를 받은 윤 후보는 결국 도합 누계 34만7963표(47.85%)로 30만1786표(41.50%)를 얻은 홍 후보를 제치고 대선 후보가 될 수 있었다.


평소 같으면 당원들의 의중이 반영된 대선 후보를 선출하는 게 당연하겠지만, 지금 당내에선 '탄핵 대선'이란 특수성을 반영해 일반 국민 여론의 비중을 더 높게 둬야 한다는 주장도 적지 않다. 특히 이번 조기 대선의 승패를 가를 표심이 중도·무당층에서 나올 것이 유력한 만큼, 이들을 조금이라도 끌어올 수 있도록 일반 국민 여론을 더 반영한 경선룰로 선정되는 후보가 대선에서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단 분석이다.


이에 당내 일각에선 지난 2021년 4·7 재보궐선거에서 채택했던 '일반국민 여론조사 100%' 방식을 채택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당시 김종인 비상대책위원장은 서울시장과 부산시장을 다시 뽑는 재보궐선거 후보를 선출하기 위한 경선에서 100% 일반국민 여론조사를 채택했다. 심지어 서울시장 후보자 선출의 경우엔 당내 경선과 안철수 당시 서울시장 후보와의 단일화 경선 모두 직접 전화면접 조사 방식의 100% 일반국민 여론조사로 진행됐다.


국민의힘 내 대권 잠룡인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 오세훈 서울시장, 홍준표 대구시장, 한동훈 국민의힘 전 대표, 유승민 국민의힘 전 의원(왼쪽부터 시계 방향) ⓒ데일리안DB

그 결과 당시 오세훈 국민의힘 서울시장 후보는 279만8788표(57.50%)를 획득해 190만7336표(39.18%)를 얻은 박영선 민주당 서울시장 후보를 89만1452표(18.32%p)차로 따돌리고 승리했다. 특히 오 시장은 서울 425개 동 가운데 420개 동에서 승리를 거두며 압도적으로 이겼다는 평가를 받았다.


특히 2021년 재보선의 승리는 새누리당의 2016년 총선 패배를 시작으로, 2017년 대선(자유한국당), 2018년 지방선거(자유한국당), 2020년 총선(미래통합당)까지 보수정당의 전국단위 선거 4연패를 씻어내는 효과까지 일으켜, 다음해(2022년) 대선 승리의 발판을 마련했단 평가까지 받았다.


국민의힘 한 의원은 "이미 양극단으로 갈라진 상황에서 누가 후보로 선출되더라도, 이재명을 싫어하는 우리 당 지지자들은 결국 본선에 올라갈 후보를 지지하지 않겠느냐"라며 "그러면 결국 중도층에게 좋은 이미지를 갖고 있거나 적어도 말이 통할 것 같은 후보가 올라와야 이길 수가 있을텐데, 그러려면 당장 우리 당내에서 경선룰을 바꿔서라도 '우린 중도적인 후보를 냈다'는 시그널을 줘야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당 안팎에선 실제로 대선 경선룰을 손보기는 현실적으로 쉽지 않은 것으로 보고 있다. 현실적으로 두 달도 채 남지 않은 시점에서 경선룰을 수정하고 당원조사와 여론조사를 실시하는 것이 쉽지 않은 결정인데다, 현행 룰에 얽힌 각 후보들간의 유불리가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한국갤럽이 서울경제신문 의뢰로 지난 4~5일 무선 93.8%·유선 6.2% 혼합 전화면접 방식으로 진행한 여론조사 결과, 국민의힘 경선 기준(당원 50%, 일반 국민 50%)에 따라 국민의힘 지지층과 무당층 총 480명을 대상으로 대선 후보 선호도를 물었을 때,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이 23.0%의 지지율을 얻어 선두를 기록했다.


김 장관 입장에선 딱히 현재 경선룰을 수정해야할 아무런 유인이나 동기를 느낄 수 없는 셈이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국민의힘 중진 의원은 "바로 직전(2022년) 대선 때도, 당시엔 일반 대선이었는데 완전국민경선제를 도입하겠다 하니 반발이 크게 일어났던 적이 기억 난다"며 "그만큼 대선 경선룰은 민감하고 또 예민한 문제여서 짧은 시간에 공감대를 만들기가 쉽지 않고, 강행하면 분명히 잡음이나 갈등이 생기기 마련인 만큼 이번에는 기존 룰대로 가는 게 맞지 않나 싶다"고 말했다.

'정국 기상대'를 네이버에서 지금 바로 구독해보세요!
김민석 기자 (kms101@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