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경화 외교장관 후보자 귀국…"북 도발 시 강력제재 필요"
"인도적 지원은 조건 없이"…문재인 정부의 대북기조와 '일맥상통'
위안부·사드 등 민감한 현안에는 말 아껴…인사청문 준비에 돌입
"인도적 지원은 조건 없이"…문재인 정부의 대북기조와 '일맥상통'
위안부·사드 등 민감한 현안에는 말 아껴…인사청문 준비에 돌입
문재인 정부 초대 외교부장관으로 내정된 강경화 후보자가 25일 북한이 추가 도발을 감행할 경우에는 더욱 강력한 제재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강 후보자는 이날 새벽 인천공항을 통해 입국하면서 북한의 미사일 도발에 대한 대응을 묻는 취재진에게 "추가 도발이 있으면 지금보다 강력한 제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앞서 지난 14일과 21일 북한의 잇따른 탄도미사일 시험발사 이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에서 보다 강화된 대북제재 결의에 대한 논의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북한의 도발에는 강력하게 대응해 나간다는 기본 원칙을 밝힌 현 정부의 기조와 부합하는 발언이다.
현재 새 정부는 북한의 도발에 대해서는 강력히 대응하되,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틀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민간교류 등 남북관계 사안에 대해서는 유연하게 검토해 나간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다.
아울러 강 후보자는 대북 인도적 지원은 조건 없이 실시해야 한다는 입장도 밝혔다. 그는 '인도적 지원은 어떠한 조건에도 실시해야 한다는 소신에는 변함이 없나'라는 질문에 "그렇다"며 "인도적 지원은 인류의 보편적 가치이기 때문에 정치적 고려와는 별도로 해야 한다는 게 유엔의 원칙이고 그렇게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유엔에서 근무하며 인권과 인도주의적 지원조정 업무를 직접적으로 다뤄왔던 전문가로서의 소신이 확연히 드러나는 부분이다. 이 역시 제재와 대화를 병행한다는 새 정부의 기조와 상통하는 것이다.
이어 강 후보자에게 한일 위안부 합의, 주한미군 사드(THAAD,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 등 현안에 대한 입장에 대한 질문이 쏟아졌지만, 그는 대일·대중외교 사안의 민감성을 의식한 듯 "현안에 대해서는 공부를 더 해야 한다"며 구체적인 답을 피했다.
강 후보자는 4강 및 북핵 외교에 경험이 없다는 일각의 지적에 대해 "북핵문제는 한반도 문제뿐 아니라 국제사회 문제로 유엔에서도 여러 번 다뤄졌고, 외무부(현 외교부)에서 대통령 통역을 3년간 맡으면서도 북핵문제가 큰 이슈여서 정상외교 차원에서 다뤄질 때 여러 관찰을 할 수 있었고 많은 것을 배운 바 있다"며 "그래서 (경험이) 전혀 없다고 볼 수는 없다"고 말했다.
한편, 국회 인사청문회를 앞두고 있는 강 후보자는 장녀의 이중국적·위장전입 문제와 관련한 질문에 "청문회에서 보다 더 소상히 말씀 드리겠다"며 말을 아꼈다.
이날 귀국한 강 후보자는 향후 외교부와 함께 본격적인 청문회 준비에 돌입할 것으로 전해졌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