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P2P금융 벌써부터 연체율 초비상


입력 2017.06.09 06:00 수정 2017.06.09 06:33        배상철 기자

빌리 연체율 14.87%…반년만에 무려 11%나 높아져

'사실상 상환불능' 지표인 부실률 1% 넘는 업체 잇따라

P2P금융 업체들의 연체율과 부실률이 높아지면서 투자자의 원금 손실 경고음이 켜지고 있다 ⓒ데일리안

최근 급성장하고 있는 개인간금융(P2P) 업체들이 자리를 잡기도 전에 급격히 동반 부실화하면서 금융시장의 적잖은 부담 요인으로 자리하고 있다. 연체율이 눈에 띄게 상승하는가 하면 상환 불능 신호로 여겨지는 부실률도 위험 수준에 도달하고 있어 투자자들의 세심한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9일 P2P금융협회에 따르면 지난달 31일 현재 회원사별 연체율을 파악한 결과, 빌리가 무려 14.87%의 연체율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두자릿수 연체율은 금융회사에게 있어 '여신건전성 적신호' 지표로 여겨진다. 2금융권인 저축은행도 두자릿수 연체율에 돌입할 경우 본격적인 채권 회수 작업에 들어간다.

문제는 연체율 증가 속도다. 실제 지난해 연체율이 3.81%였던 빌리는 6개월 새 11.06나 올랐다.

여타 P2P업체들의 연체율도 이상 기류를 보이고 있다. 지난달 말 현재 이디움과 팝펀딩은 각각 3.58%와 3.34%의 연체율을 기록했는데 팝펀딩은 6개월 동안 1.7%, 12월부터 공시하기 시작한 이디움은 3.58%나 상승했다.

P2P금융협회가 마련한 자체 기준에 따라 30일 이상 90일 미만 상환이 지연되면 연체율로 집계된다.

P2P업체들은 대수롭지 않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빌리 관계자는 “연체되고 있는 부동산 상품의 금액이 크다보니까 수치적으로 높게 나오고 있다”며 “다음 달 내로 많은 채권들이 해결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문제는 90일 이상 연체 시 발생하는 부실률이다. 금융권에서는 90일 이상 연체되면 고정이하여신으로 분류해 채권 회수 가능성을 희박하게 본다.

부실률이 가장 높은 업체는 빌리로 1.84%를 기록했다. 이어 8퍼센트(1.38%), 렌딧(1.25%), 펀다(1.14%) 순이었다.

지난해 11월과 비교하면 8퍼센트의 부실률이 0.72%로 가장 많이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빌리와 렌딧은 비슷하거나 낮은 수준을 유지했다.

높아지는 연체율과 부실률에 투자자들은 두려움을 떨치지 못하고 있다.

특히 8퍼센트의 경우 지난해 43억원의 당기순손실을 낸 반면 플랫폼 이용수수료로 올린 수익이 2000만원에 그치는 등 부실 위험성이 높은 상황이다.

이와 관련해 금융당국 관계자는 “연체율·부실률이 높은 업체는 투자자의 외면으로 시장에서 도태될 것”이라며 “하지만 투자자들의 주의가 요구된다”고 당부했다.


배상철 기자 (chulcho@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배상철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