촛불광장 일상민주주의 실현…서울시가 말하는 민주주의는?
서울시 민주시민교육…올 한해 민주주의 학습·실천 목표
"광장 민주주의 시민 일상으로 옮겨 삶 속 민주주의 실현"
서울시 민주시민교육…올 한해 민주주의 학습·실천 목표
"광장 민주주의 시민 일상으로 옮겨 삶 속 민주주의 실현"
서울시가 촛불집회 이후 대한민국의 민주주의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시민과 함께 공유한다. 지난해 광화문 촛불집회에서 원활한 집회 환경 조성을 지원해온 서울시는 이를 '촛불시민혁명'이라고 명명하고, 이 여세를 몰아 시민 삶 속 '일상 민주주의'를 실현하겠다는 구상을 밝혔다.
서울시는 2014년 전국 최초로 '민주시민교육에 관한 조례'를 제정한 후 민주시민교육을 위한 공유대회를 개최해왔다. 이는 민주주의를 생활 속에 뿌리내리게 하기 위한 일환으로, 민주주의를 학습하는 정적인 배움과 이를 실천하는 동적인 배움으로 이어진다.
서울시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2번째 민주시민교육 공유대회를 개최해 민주주의의 생활화를 실현한다는 목표다. 시는 6일 월드컬쳐오픈 W스테이지 서소문에서 '2017 서울시 생활 속 민주주의 학습 공유대회'를 열고 시민과 원탁토론을 가진다.
이번 행사는 '학습과 실천, 민주주의 생활 속으로!' 라는 슬로건 아래 치러지며, 올 한해 민주주의를 학습하고 실천에 옮긴다는 방침이다.
이날 행사에서는 서울시가 올 한 해 동안 펼친 민주시민교육을 위한 사업을 한 번에 만나볼 수 있으며, 117개 민주주의 시민학습 프로그램과 시민 학습·사회참여 모임의 사례를 공유하는 발표가 이어진다.
발표되는 시민프로그램으로는 ▲다양한 계층의 민주주의 바라보기-시민학습프로그램 '어린이도 시민이다' ▲다양한 주제로 민주주의에 다가서기-'우리 함께 만들어요, 성평등!' ▲다양한 방법으로 민주주의 체험하기-"나도 대한민국 봉제인이다" 등이 진행된다.
먼저 '어린이도 시민이다' 프로그램에서는 어린이문화연대가 공연·영화를 매개로 어린이 시민성 교육활동을 진행하고, '우리 함께 만들어요, 성평등' 프로그램에서는 광진청소년수련관에서 성차별적 요소를 찾아보고 성별 고정관념 깨기 활동이 전개된다. 마지막으로 "나도 대한민국 봉제인이다" 프로그램에서는 한누리갈등관리·조정센터에서 소규모 봉제공장에 취업한 이주여성들이 스스로 갈등을 관리할 수 있는 워크숍 등이 시행된다.
이번에 참여하는 총 76개의 시민 학습·사회참여 모임들은 강연·독서·토론은 물론 번역, 책·잡지 만들기, 전시회 개최, 연극 만들기, 캠페인, 의정 모니터링, 정책제안 등의 다양한 활동을 펼친다.
이어지는 2부에서는 민주주의 시민학습 프로그램과 동아리 참가자들이 일상의 민주주의가 실현되는 10년 후의 서울시를 상상하는 원탁토론을 진행한다.
여기서는 올 한해 민주시민교육 활동을 펼친 참가자와 현장에 참석한 시민이 모두 원탁에 둘러앉아 일상의 민주주의에 대해 질문하고, 일상의 민주주의를 확산할 수 있는 방법을 논의하는 대시민 토론이 이뤄질 전망이다.
참석을 원하는 시민은 인터넷 누리집에 사전참가신청을 하거나, 행사 당일 행사장에서 직접 접수 가능하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앞서 시민 주도 촛불집회와 관련 "시민의 위상과 광장의 역할을 재확인한 광장 민주주의를 일상으로 옮겨와 시민 삶 속 민주주의가 실현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