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데일리안 오늘뉴스 종합] 금감원장 또 불명예 낙마, 청와대 커지는 조국 책임론, 김기식·김경수 직격타에 적폐청산 흔들, 中 미국산 수수에 반덤핑 불붙는 무역전쟁 등


입력 2018.04.17 20:49 수정 2018.04.17 20:49        스팟뉴스팀

▲청와대, 커지는 조국 책임론에 '산 넘어 산'
김기식 금융감독원장의 사퇴로 인한 후폭풍에 청와대가 시름하고 있다. 애초에 김 원장 논란과 관련해 청와대가 '선관위 질의'라는 전례 없는 승부수를 던진 것이 역풍을 자초했다는 지적이다. 청와대는 선관위의 위법 결정이 나오면서 단순히 김 원장 낙마의 정치적 부담뿐만 아니라 향후 인사의 난맥상까지 마주하게 됐다.

▲금감원장 또 불명예 낙마...금융개혁 '시계제로'
현 정부가 점찍은 금감원장이 잇따라 불명예 퇴진하면서 의욕적으로 추진됐던 금융개혁이 시계제로 상태에 내몰리고 있다. 무엇보다 엄정한 금융 관리감독의 헤드쿼터가 되어야할 금감원의 위상 추락과 4차산업혁명 등 금융환경 변화 속도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는데 따른 부작용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문재인 정부, 김기식·김경수 직격타…‘적폐 청산’ 흔들?
문재인 정부의 ‘적폐 청산’이 흔들리고 있다. 김기식 전 금융감독위원장 외유 논란에 이어 김경수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댓글조작’ 사건이 연달아 터지면서다. 청와대와 더불어민주당은 연일 의혹을 감싸는데 급급한 모양새다. 문 정부의 적폐 청산 의지에 물음표가 따르는 이유이기도 하다.

▲中, 미국산 수수에 반덤핑…美·中 무역전쟁 다시 불붙나
미국이 중국의 2위 통신장비업체 ZTE에 제재를 가하자 중국이 미국산 수수에 반덤핑 예비 판정을 내렸다. 17일 중국 상무부는 미국산 수수의 덤핑 행위가 중국 관련 산업에 실질적인 피해를 주고 있다며 오는 18일부터 보증금을 내는 방식의 ‘반덤핑 예비 조치’를 취하기로 했다. 이 조치가 시행되면 미국산 수수 수입업자들은 덤핑 마진에 따라 최대 178.6%의 보증금을 내야 한다.

▲한국지엠 노조, 부도 사흘 앞두고 파업권 확보?
한국지엠 ‘운명의 날’이 사흘 앞으로 다가왔다. 회사측은 부도신청을 막으려면 비용절감 자구안에 대한 잠정합의가 유일한 방법이라고 호소했지만 결국 노조는 거부했다. 설상가상으로 노조가 파업권까지 확보할 상황이어서 사태는 더욱 악화되고 있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카허 카젬 한국지엠 사장은 전날 열린 제8차 임금 및 단체협약(임단협) 교섭에서 “잠정합의가 이뤄지면 부도신청이 중지되지만 합의가 이뤄지지 않는다면 부도신청이 진행된다”면서 “방법은 잠정합의 뿐이다. 자금 확보를 위해 선택해야 한다”고 호소했다.

▲김흥국 성추행 추가 폭로자 "일이 커질 줄 몰랐다
가수 김흥국의 성추행을 목격했다고 주장했던 A씨가 "후회한다"는 내용의 문자메시지를 김흥국 측에 보낸 것으로 알려졌다. 김흥국 측 관계자는 16일 "A씨가 '후회한다' '이렇게 일이 커질 줄 몰랐다' '왜 그랬는지 모르겠다' 등의 내용이 담긴 문자 메시지를 세 차례 보냈다"고 전했다. 다만 해당 문자메시지에는 A씨가 직접적으로 사과하는 내용이 담겨 있지는 않았다.

'데일리안 오늘뉴스 종합'을 네이버에서 지금 바로 구독해보세요!
스팟뉴스팀 기자 (spotnews@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스팟뉴스팀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