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항공, 33호기 도입...단일기종 운용효율 제고
연말까지 39대 운용 계획...지방발 신규취항 확대 등 노선 다양화
극대화 된 단일기종 효과로 LCC 고유 장점 바탕 경쟁우위 확보
연말까지 39대 운용 계획...지방발 신규취항 확대 등 노선 다양화
극대화 된 단일기종 효과로 LCC 고유 장점 바탕 경쟁우위 확보
제주항공(대표 이석주)은 12일 오후 인천국제공항에서 33호기를 도입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는 올 들어 지난 2월28일 32호기를 도입한 지 불과 한 달여 만으로 올해 도입하기로 한 9대의 항공기 중 2번째 항공기 도입이다.
이번에 도입된 항공기는 현재 운용중인 미국 보잉사의 B737-800과 동일한 기종이다.
제주항공은 올해 총 9대를 도입하고 사용계약이 끝나는 1대를 반납해 연말까지 8대가 늘어난 39대의 항공기를 운용할 계획이다.
제주항공은 항공기 도입이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으며 기단 확대계획에 따라 시장점유율 확대전략을 본격 추진해 나갈 방침이다.
특히 제주항공은 지방공항 활성화 차원에서 지방발 국제선 확대에 주력한다는 계획에 따라 오는 4월30일 무안~일본 오사카를 시작으로 5월1일 무안~베트남 다낭, 5월2일 무안~태국 방콕 등 3일 동안 무안국제공항에서 3개의 국제선 정기노선을 잇달아 취항할 계획이다.
제주항공은 현재 운용 중인 B737-800 단일기종 운용기조를 유지한다는 방침이다.
일부 후발항공사들이 중대형 기재 도입 등을 통한 중장거리 노선 개발을 나서고 있는 것과 달리 단일기종 운용을 통한 운항효율 및 비용절감을 극대화 함으로써 소비자에게 합리적인 운임을 꾸준히 제공하는 저비용항공사(LCC) 본연의 장점에 집중하는 것이다.
제주항공 관계자는 “기단 확대를 바탕으로 기존 주요노선에 대한 증편은 물론 지방발 국제선에 신규 취항해 더 많은 여행객의 여행편의를 높여줄 계획”이라며 “국적항공사 가운데 가장 공격적인 기단 확대를 통해 운항효율과 원가 경쟁력을 높여 소비자에게 합리적인 운임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